The Fuzzy QFD Approach to Importance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Category

퍼지 QFD를 활용한 공공부문 정보화 성과 측정범주 중요도 도출

  • Oh, Jin-Seok (Graduate School of National Defense Management,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
  • Song, Young-Il (Graduate School of National Defense Management,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 오진석 (국방대학교 국방관리학과) ;
  • 송영일 (국방대학교 국방관리학과)
  • Received : 2010.05.27
  • Accepted : 2010.07.28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Is presenting guidance of inform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as government PRM version 2.0 these common reference models in public sector. Government PRM is consisted of assessm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standard line of sight and performance management standard form. Through this, is sorting performance element and define cause-and effect. Government PRM is supplying measurement categories at assessment classification system, but relative importance for application standard by measurement categories is not presenting. In this study, importance for government PRM's measurement categories been applying by commonness Test of inform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of public sector wishes to deduce estimation and priority. Research model used Fuzzy QFD, and designed so that can reflect well PRM's development purpose. I applied Fuzzy AHP and FPP method that graft together fuzzy theory to minimize uncertainty and ambiguity in that expert opinion. Is drawn to element that "Standard model offer for information department and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in government PRM's development purpose. "Quality of service" is showing the highest priority in customer results in measurement category. Importance for government PRM's measurement categories can offer common valuation basis in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 Hereafter if examine closely quantitative cause-and effect for structure model of measurement classification system when study government PRM more objective and efficient reference model become.

민간 및 정부 전 분야에 걸쳐서 정보화사업에 대해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투자대비 성과를 측정하고자 많은 노력들이 수행되고 있다. 정보화사업에 대한 평가는 크게 수준평가와 성과평가로 구분되고 있으며, 수준평가는 정부차원으로 매년 측정하고 성과평가는 자체 평가로 수행되고 있다. 공공부문에 있어서는 범정부 성과참조모델(Performance Reference Model: PRM) ver. 2.0이 개발되어 공통 참조모델로써 정보화 성과평가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범정부 PRM은 가장 근간이 되는 평가분류체계와 표준 가시경로 및 성과관리 표준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성과요소들을 분류하고 인과관계를 정의하고 있다. 효율적인 정보화사업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성과에 대한 평가를 객관적으로 할 수 있는 정량적인 수치화가 필요하다. 범정부 PRM은 평가분류체계에서 측정범주는 제공하고 있지만, 측정범주별 적용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성과평가의 공통기준으로 적용되고 있는 범정부 PRM의 측정범주에 대한 중요도 평가 및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은 Fuzzy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를 이용하였으며, 측정범주의 중요도 도출시 범정부 PRM의 개발목적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함에 있어 불확실성과 모호성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퍼지이론을 접목한 Fuzz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FPP(Fuzzy Preference Programm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범정부 PRM의 개발목적에서는 성과관리 참조모델로써의 가장 기본적인 요구사항이라 할 수 있는 "정보화 성과관리를 위한 표준모형 제공"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고 있다. 측정범주에 서는 고객영역에서 "서비스 품질"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보이고 있다. 정보시스템의 서비스에 대한 품질 관리 및 향상방안에 보다 많은 투자와 노력이 필요함을 엿볼 수 있다. 범정부 PRM의 측정범주에 대한 중요도는 정부 및 공공기관에 공통의 평가기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체 평가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보완/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향후 연구시 성과분류체계의 구조모형에 대한 정량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한다면, 범정부 PRM은 보다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참조모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한 외 1명, 품질만족 리엔지니어링, 성림, 1994
  2. 이광형 외 1명, 퍼지 이론 및 응용, 홍릉, 1991
  3. 이건창, 퍼지이론, 경문, 2004.
  4. 한국정보화진흥원, "범정부 성과참조 모형 2.0", 2009.
  5. Deng, H., "Multicriteria Analysis with Fuzzy Pairwise Comparison", International J. Approx. Reason, Vol.21, 1999, pp. 215-231. https://doi.org/10.1016/S0888-613X(99)00025-0
  6. Dyer, J., "Remarks 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Vol.36, 1990, pp. 274-275. https://doi.org/10.1287/mnsc.36.3.274
  7. Guinta, Lawrence, R. Nancy and C. Praizer, The QFD book: Team Approach to Solving Problems and Satisfying Customers Through Quality Function Deployment, Auditrol, Inc., 1993.
  8. Mikhailov, L., "Deriving priorities from fuzzy pairwise comparison judgements", Fuzzy sets and systems, 2003.
  9. Mikhailov, L., "A Fuzzy Approach to Deriving Priorties from Interval Pairwise Comparison Judgement",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159, 2004, pp. 687-704. https://doi.org/10.1016/S0377-2217(03)004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