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heritabilities, repeatabilities and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breeding values for litter size and sex ratio of Yorkshire and Landrace pigs using various single trait animal models. The analyses were carried out the data comprising 26,390 litters of Yorkshire and 26,173 litters of Landrace collected from the year 1998 to 2008 at a private swine breeding farm located in central part of Korea. Five different analytical models were used for genetic parameter estimation. Model 1 was most simple basic model fitted with year-month contemporary group fixed effect, random additive genetic effect and random residual effect. Model 2 was similar to the model 1 but permanent maternal environmental effect added as random effect, and model 3 was similar with the model 2 but linear and quadratic effects of sow age were added as fixed covariate effect. Model 4 was similar as model 2 except that the parity was added as fixed effect and model 5 was similar to model 3 or model 4 but covariate of sow age was nested within parity effec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eans and standard error of total number of pigs born per litter (TNB) and number of pigs born alive per litter (NBA) were $11.35{\pm}0.02$ and $10.04{\pm}0.02$ for Yorkshire, $10.97{\pm}0.02$ and $9.98{\pm}0.02$ for Landrace, respectively. The sex ratio (percentage of female per litter) was $45.75{\pm}0.11%$ and $45.75{\pm}0.11%$ for Yorkshire and Landrace, respectively. The heritability estimates of TNB (0.243) and NBA (0.192) from model 1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from any other models in both breeds. Differences in heritability and repeatability for TNB were not large among models 3, 4 and 5 and same tendency of negligible differences among estimates by models 3, 4 and 5 were observed for NBA, where heritability and repeatability ranged from 0.096 to 0.099 and from 0.188 to 0.193, respectively, in Yorkshire; and ranged from 0.092 to 0.098 and from 0.193 and 0.196, respectively, in Landrace. The heritability estimates for sex ratio were close to zero which was ranged from 0.002 to 0.003 for TNB and from 0.001 to 0.003 for NBA over the models applied. The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of breeding values by model 1 with those from other models (model 2, 3, 4 and 5), and breeding values by model 2 with those from other models (model 1, 3, 4 and 5) were highly positive but lower than the coefficients among breeding values by model 3, model 4 and model 5 which were high of 0.99, approximately, for TNB and NBA of both breed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역에 소재한 민간 종돈장에서 1998년부터 2008년까지 분만한 요크셔종 26,390복과 랜드레이스종 26,713복의 번식성적을 근거로 산자수와 성비에 대한 유전력과 육종가를 추정하고, 각 모형별로 추정된 육종가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요크셔종과 랜드레이스종의 총산자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오차는 각각 $11.35{\pm}0.02$두, $10.97{\pm}0.02$두로 조사되었으며, 생시 생존자돈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오차는 각각 $10.04{\pm}0.02$두, $9.98{\pm}0.02$두로 조사되었다. 또한 생시 생존 자돈수 중에서 암컷이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한 성비의 평균치는 요크셔종에서 $45.75{\pm}0.11%$, 그리고 랜드레이스종에서 $45.75{\pm}0.11%$로 조사되어 두 품종 모두 암컷의 비율이 수컷의 비율보다 낮게 나타났다. 모델 l을 적용하여 분석한 총산자수에 대한 유전력은 요크셔종과 랜드레이스종에서 각각 $0.243{\pm}0.009$, $0.241{\pm}0.009$로 추정되어 두 품종에서 모두 다른 모델들(모델 2~모델 5)을 적용하여 추정된 유전력 보다 높게 추정되었다. 모델 3, 4, 5를 적용하여 분석한 총산자수에 대한 유전력과 반복력은 요크셔종에서 각각 $0.096{\pm}0.012{\sim}0.103{\pm}0.013$ 및 $0.211{\pm}0.008{\sim}0.215{\pm}0.008$의 범위로 추정되었고, 랜드레이스종에서 각각 $0.108{\pm}0.013{\sim}0.114{\pm}0.013$ 및 $0.210{\pm}0.008{\sim}0.214{\pm}0.008$의 범위로 추정되어 두 품종 모두 모델들 간(모델 3~모델 5)의 유전력과 반복력 추정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델 1을 적용하여 분석한 생시 생존 자돈수에 대한 유전력은 요크셔종과 랜드레이스종에서 각각 $0.192{\pm}0.009$ 그리고 $0.209{\pm}0.009$로 다른 모델들을 이용하여 분석된 유전력에 비해 높게 추정되었다. 모델 2를 이용하여 분석한 유전력과 반복력은 요크셔종에서 $0.102{\pm}0.012$ 및 $0.170{\pm}0.008$, 랜드레이스종의 경우 $0.091{\pm}0.012$ 및 $0.179{\pm}0.008$로 추정되었고, 모델 3, 4, 5를 이용하여 추정한 유전력과 반복력은 요크셔종에서 $0.096{\pm}0.012{\sim}0.099{\pm}0.012$ 및 $0.188{\pm}0.008{\sim}0.193{\pm}0.008$의 범위로 추정되었으며, 랜드레이스종의 경우 $0.092{\pm}0.012{\sim}0.098{\pm}0.012$ 및 $0.193{\pm}0.008{\sim}0.196{\pm}0.008$의 범위로 추정되어 두 품종 모두 모델 2, 3, 4, 5간의 유전력과 반복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돼지의 산자수와 관련된 유전력은 환경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도 잔차의 분산이 매우 높게 추정되었기 때문에 저도의 유전력과 반복력이 추정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모델별로 추정된 총산자수와 생시 생존 자돈수에 대한 육종가를 기준으로 각 개체의 순위를 정한 후 이 순위간의 상관을 구하였을 때 두 품종 모두 모델 1과 2는 다른 모델과 정의 상관을 보였지만 모델 3, 4, 5 간의 순위 상관 계수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모델 3, 4, 5 간의 육종가 순위 상관은 0.99 이상의 고도의 정의 상판을 나타내어 모델 3, 4, 5를 이용하여 추정된 개체들의 육종가 순위는 모델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델 1~모델 6을 적용하여 추정한 성비에 대한 유전력은 요크셔종과 랜드레이스종에서 각각 $0.002{\pm}0.002{\sim}0.003{\pm}0.002$, $0.001{\pm}0.002{\sim}0.003{\pm}0.002$의 범위로 추정되어 어떤 한 모델을 적용 하더라도 0에 가깝게 추정되었다. 따라서 선발을 통해 성비를 조절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