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of Leisure Danc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among Women

  • 곽한병 (경기대학교 레저스포츠 건강학과) ;
  • 구경자 (경기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 투고 : 2010.06.03
  • 심사 : 2010.06.21
  • 발행 : 2010.08.28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서울 경기도지역에 있는 스포츠센터, 일반동호회, 지역동호회, 댄스학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생활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20~50대 성인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유의표집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추출 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분석결과 Cronbach's $\alpha$ 값이 .70이상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신뢰도 요인분석, 공변량분석,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무용 참가여성은 비참가여성에 비해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생활무용 참가기간은 체형, 만족, 유연성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참가강도는 체형과 근력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생활무용참가기간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참가빈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생활무용 참가정도는 신체 이미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즉 생활무용 활동 정도는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신체이미지 변수를 통하여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듯이 신체이미지는 생활무용 참가와 자아존중감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매개변수 역할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women's leisure danc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female adults who were selected by cluster sampling from the population that consisted of women who were in their 20s to 50s. In the population, some women got leisure dance at fitness clubs, sport lovers' clubs and dance academies in Seoul and Gyeoggn Province as of 2009, and the others didn't. As for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the questionnaires was above .70. The major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ie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alysis co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who got leisuer dance evaluated their ow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more favorably than the others who didn't. Second, the length of participation affected the body shape, satisfaction level and flexibility, and the intensity of participation impacted on the body shape and muscular power. Third, the length of participation had an impact on self-esteem,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that. Four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had a causal impact 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getting leisure dance affected self-esteem in a firsthand manner and exerted a secondhand influence on that through physical image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physical image was one of major parameters to link participation in rhythmic exercise and self-esteem.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유경, 여성의 바디이미지와 신체훈련 참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5.
  2. 동아일보, 2004년 3월 8일.
  3. 이희선, 평생교육으로서의 무용의 활성화방안, 제2회 국제예술세미나 및 워크숍, 한국무용교육학회, 1995.
  4. 양은심, 주부의 생활무용참가와 스트레스 및 생활 만족도간 인과분석, 미간행박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9.
  5. 이숙현, 스포츠참여에 따른 신체상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6. 김유경, 신체훈련 참가가 여성의 바디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7. 박미현,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자아존 중감,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8. 김경식, 여성의 체력운동 참가와 신체만족의 관계, 대한체력학회지, 제4권, 제1호, pp.11-18, 2007.
  9. 김옥분, 댄스스포츠참여를 통한 매개변인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0. 이승자, 도시주부의 에어로빅활동과 여가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1. 변해심, 에어로빅스 운동참여가 여성의 신체상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2. 원유병, 중년여성의 생활체육 참여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1999.
  13. 백혜원, 무용전공 여대생의 심리적 특성 비교: 자기신체평가, 자기존중심, 정신건강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1993.
  14. 육영숙, 지속적인 운동이 성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1994.
  15. 육영숙, 지속적이 운동참여가 성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14권, 제2 호, pp.205-218, 2005.
  16. M. Blyth and B. Goslin, Cardiorespiratory respones to aerobic dance. Journal of sport medicine, 25, pp.57-64, 1985.
  17. C. Davis, S. H. Kennedy, C. Relevski, and M. Dionne, The role of physical activity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eating disorders. Psychological Medicine, 24 pp.957-967, 1994. https://doi.org/10.1017/S0033291700029044
  18. C. J. Ferderick, The gendered experience of aerobic exercise classes: Exploring body image as a leisuer constraint for undergraduate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terloo, 1993.
  19. N. W. Loland, Body Image and physical activity. A survey among norwegian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9. pp.339-365, 1998.
  20. V. V. P. Rao and S. J. Overman, Psychological well-bing and body image: A comparison of black women athletes and nonathletic. Journal of Sport Behavior, 9, pp.79-91, 1996.
  21. M. Snyder, Movement theraoy.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New York : Delmar Publisher, 1990.
  22. E. E. Snyder and E. Spreizer, Involvement in sports and psychologywell-being and body image, Research Quarter, 46, pp.191-199, 1974.

피인용 문헌

  1. Relations of Body Perception, Anxiety,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Abnormal Eating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vol.15, pp.6,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6.3675
  2. Comparison and Analysis of Dieting Practices Using Big Data from 2010 and 2015 vol.23, pp.2, 2018, https://doi.org/10.5720/kjcn.2018.23.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