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anitation management practices in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that supply food and food ingredients to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Subjects consisted of 34 food manufacturing factories located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Sanitation performance was self-evaluated using a Likert 5-point scale. The total mean score for factory sanitation performance was 4.72. Scores for perceive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factories were as follows: management of material (4.90); personal hygiene (4.78); management of work (4.71); management of workplace and vicinity (4.68); and food and raw material transportation (4.67). Participating companies that had HACCP certification programs scored high on the following sanitation inspection items: washing and sanitation guides, adequate equipment for correct hand washing, and sanitation of raw material delivery vans. The mean frequency for employee sanitation education was 2.8 times per month. Factory managers believed that their sanitation management programs kept their food safe and that the food was produced and delivered with a high degree of safety. However, they thought that food sanitation standardization was needed in order to supply high-quality and safe food items. In terms of traceability, 58.8% of the raw materials were traceable and 61.8% of the manufactured products were traceable.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scores for the participating food manufacturing companies were high, although the soybean sprouts processing companies had comparatively low scores. Management reinforcement of employee sanitation education and a sense of duty and pride among factory employees will promote adequate and appropriate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for food safety and quality in factories that supply food and ingredients to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 생산 가공업체의 위생관리수준과 식재료품질관리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식재료 생산 가공업체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평균은 4.72/5점이었고, 콩나물업체의 수행수준이 가장 낮았다. 위생관리실태 영역 중 원부재료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고, 개인위생관리, 작업관리, 작업장과 주변 환경관리, 운송영역의 관리순이었다. 협력업체의 위생평가와 세척 및 소독 지침에 관한 항목, 작업관리 영역, 정확한 손 세척 수행 항목, 원부재료 운송차량 관리 항목, 식재료 운송영역에서 HACCP 지정업체와 미지정업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위생관리 수행수준 영역 중 위생구역 구분관리, 세제와 소독제에 의한 식재료 오염 방지, 위생복, 위생화, 위생모의 착용여부, 세척시설을 갖춘 정확한 손 세척, 원부재료의 온도관리확인 및 서류보관, 원부재료의 청결확인 및 서류보관, 원부재료의 운송차량과 수송설비의 청결유지와 소독의 항목이 업체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원부재료에 대한 이력추적관리는 58.8%의 업체가 실시하고 있었고, 생산품에 대해서는 61.8% 정도 실시되었다. 식재료의 온도관리가 어려운 이유는 과다적재로 인한 것으로 조사되어 과다적재에 대한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정확한 식재료의 공급을 위한 식재료의 품질규격화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교급식 식재료의 안전한 생산을 위해 생산 가공업체에서는 위생교육을 더욱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위생교육 내용을 교육대상자의 요구에 맞추어 선정하고, 일방적인 강의형식의 교육보다는 교육매체를 활용한 보다 능동적이고 흥미로운 위생교육을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최대한 높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