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y Law - A Comparison with EU-Countries in Regard to Regime Classification -

한국 가족법의 특수성 - EU 국가와의 비교를 통한 유형 구분 -

  • 정연택 (충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0.09.07
  • Accepted : 2010.11.04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study begins with two research interests. Firstly, there seems to be a break of research in the field of family policy in Korea which exists especially in regard to family law. Family law was originally the core of state interventions in family life, but has been neglected because of the lack of literature with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This shortcoming needs to be addressed. Secondly, through inquiry into the definition of family or family policy with the lens of the law, the definition of family or family policy can be correctly extended. With these two interests combined, this research tries to derive an analytical tool - maintenance community - of the law and compare some important points of the family law of Korea with those of 16 EU-countries in terms of regime classification. The method used is, firstly, to describe the subjects of family law with a focus on partnering and parenting without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secondly, to classify the countries' family-law regimes with the criteria of privacy and autonomy using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untr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Nordic (Norway and Sweden), West-Northern (Denmark, France, England, Finland, and Belgium) and Middle South (Italy, Spain, Austria, Portugal, Netherlands, Greece, Ireland, Germany, and Korea). This result can be compared to a precedent research result which showed that 21 OECD countries can be classified in three clusters according to family policy. The number of the clusters is the same as this study, but some countries belong to other clusters; for example Denmark and Finland belong to the Nordic cluster according to family policy, while they belong to the West-Northern according to family law, and Austria, Germany, and Ireland belong to the Middle-South cluster according to family law, while they belong to the Continental according to family policy. From this result we can interpret Korean family law to be in the middle range according to both criteria of privacy and autonomy like other South-European countries including some Continental countries. We can make some theoretical suggestions. The fact that both family law and family policy regimes in countr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can be interpreted to mean that there exists parallelism between family law and family policy in a broad sense. But from the fact that some countries belong to different clusters according to family law and family policy, we can say that the family policy in a country is not always consistent with family law.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연구관심으로부터 출발한다. 첫째, 가족정책 연구 분야에서 가족법이 등한시되었다는 것인데, 가족법은 가족생활에 대한 국가 개입의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연구방법을 사용한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많이 다루어지지 못하였다. 둘째, 법학에서의 가족 및 가족정책의 개념 및 접근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가족정책의 외연이 넓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둘을 결합하여 본 연구는 법학에서의 부양 공동체라는 분석틀을 도출하여 유형구분의 시각에서 한국과 EU 16개국의 가족법의 주요 내용을 비교하고자 한다. 사용되는 방법론은 주관적 해석을 배제하여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에서 부양의무와 관련되는 주요 내용을 살펴본 후, 사생활과 자율성이라는 기준을 통해 가족법 체제의 유형구분을 군집분석을 통해 시행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군집분석 대상 16개국은 북구(노르웨이, 스웨덴) 서북유럽(덴마크, 프랑스, 영국, 핀란드, 벨기에) 그리고 중남유럽(이태리, 스페인, 오스트리아, 포르투갈, 네덜란드, 그리스, 아일랜드, 독일, 한국)등 세 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OECD 21개국의 가족정책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한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세 개의 군집으로 분류되는 것은 동일하지만 덴마크와 핀란드는 가족정책에 의하면 북구군집에 속하였으나 가족법의 분류에서는 서북유럽 군집으로,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아일랜드 등은 유럽대륙·영연방군집에 속하였으나 중남유럽군집으로 분류되었다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가족법에서도 가족정책의 군집분석과 같이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는 점에서 일관성이 있으나, 몇 개의 국가는 가족정책과 가족법에 속하는 유형이 다르다는 점에서 포괄적인 의미의 가족정책이 항상 일관성을 가지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9년도 충남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