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chanism of Coastal Landscape Formation Process in Japan

일본 해안경관 형성과정의 메커니즘 분석

  • Lee, Seok-Hwan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Received : 2010.09.30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Coastal landscape is a collective setting of artificial or natural elements along the seaside. The approach method for the coastal landscape form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urban landscape form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mechanism of coastal landscape formation process in Japan in the aspects of recognition phase, formation phase, and practice phase.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landscape formation process in Japan are construction of a survey system for integrating diverse landscape elements as a final coastal landscape, construction of a coherent evaluation system responding the local natural and spatial characters, and building a cooperative system responding the police of coastal landscape formation. This study suggest the implications both for the improvement of domestic local values and for the ways of the domestic coastal landscape formation.

해안경관은 해안선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인공적.자연적 요소의 통합된 장이며, 해안의 구성요소인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인공의 총체적 조망이다. 해안경관은 일반적으로 육역과 다른 경관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도시경관과는 다르게 접근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을 사례로 해안경관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메커니즘을 인식단계, 형성 단계, 실천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해안공간의 조화라는 관점에서 다양한 기능을 최종적인 형태로 통합하도록 하는 조사체계 구축, 지역의 자연특성과 공간특성을 고려하여 일관성 있는 평가체계 구축, 해안경관형성의 정책방향이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협력체계 구축 등을 해안경관형성의 특성으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일본 해안경관형성의 메커니즘에 나타난 가치를 바탕으로, 국내 해안의 잠재된 매력을 발견하여 지역의 가치향상과 더불어 국내 해안경관형성 수립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노영란.박성진.이청웅, "해안경관계획을 위한 물리적 구성요소 개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V.10 n.04, 통권36호, 2008, pp167-175
  2. 조은일.이병걸, "제주시와 부산시 해안변의 해안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평가", 해양환경안전학회지, 제14권 7호 통권 제33호, 2008, pp127-133
  3. 구본아, "부산 해안경관의 시각선호도 분석",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4. 윤상호. "해안지역의 경관관리방안 연구", 한국도시행정학보, 제20집 제3호, 2007, pp51-75
  5. 박상헌, "경관을 고려한 각종 개발 가이드라인 설정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2007
  6. 김경인.김종하 역, "수변의 경관설계", (주)브이아이랜드, 2005
  7. 윤상호 등, "해안지역의 경관관리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12
  8. 김나영, "부산의 해안경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2
  9. 國土交通省 河川局.港灣局, 農村水産局 農村振興局.水産廳, 海岸景觀形成ガイドライン, 2005 .12
  10. 岡田智秀, 土木學會景觀.デザイン委員會デザインワ一クショップ, 2004
  11. 東京都, 景觀づくク基本方針, 2000. 07
  12. 海岸硏究會編, ふるさとの海岸づくりアイデア集 技報堂出版, 199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