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Reflection Degree of Worker's Stress by Brain-waves based Anti-Stress Quotient

뇌파기반 항스트레스 지수에 의한 직장인의 스트레스 반영도 분석

  • Ahn, Min-Hee (Dept. of Mind-Body Healing, Seoul University of Buddhism)
  • 안민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심신통합치유학과 뇌과학)
  • Received : 2010.08.27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Brainwave can be the most effective means of detecting the state of the brain that changes moment by moment. Since brain has closed relations with hormones which are a foundation of metabolism, it needs to examine closely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brainwave and hormone. We examined the possibility to find out such information about metabolism by comparing brainwave with cortisol hormone. The major variables are anti-stress quotient of brainwave and cortisol density which give stress information of the working women, to measure from March 3 to May 28, 2007.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performed such statistical analysis about the before and after of brainwave training as t-test, correlational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 obtained following results: First, considerable changes of variables is shown by brain-wave training. Second, there exist a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ir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influence between variables is verified. Thus, we found that stress information of hormone analytical level can be obtined only through brainwave analysis.

뇌파는 시시각각 변하는 뇌 상태를 가장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수단이다. 뇌는 신진대사의 근간인 호르몬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뇌파와 호르몬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뇌파만으로 신진대사와 관련된 정보의 산출이 가능함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변수는, 2007년 3월 3일부터 5월 28일까지 측정한, 직장인 여성들의 스트레스 정보인 뇌파 항스트레스 지수와 코티졸 호르몬 농도이다.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뇌파훈련 전후에 대한 t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주된 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뇌파훈련에 의해 변수들의 변화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둘째, 변수들 간에 상관성이 존재함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에서, 변수들 간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뇌파분석만으로도 호르몬 분석수준의 스트레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Kelly C. Allison, Ph.D., Albert J. Stunkard, M.D., and Sara I., Thier, 임경아(역),"Overcoming Night Eating Syndrome", 116-118, 2005, New Harbinger Pub., 루비박스(역)
  2. 알지, "부신피질 호르몬의 합성 (내분비계) physiology", 2008, 은행잎향기, http://blog.daum.net/kllee1129/16889361
  3. 이명근, 이명선, 박경옥, "병원 근무자들의 스트레스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9(1), 61-74, 1997.
  4. 진영수, "국내건강 체력증진센터의 현황분석과 전망", 한국체육학과 연구원, 스포츠 과학, pp54, 1994.
  5. Berger, H, "On the electroencephalogram of man",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suppl 28, 1929.
  6. Bruce J. FISCO, M.D, "Fisco & Spelmann's EEG Primer", Elsevier, 3rd Ed, 1999.
  7. 박병운, "뇌파해석기법", 한국정신과학연구소, 2005.
  8. 박병운, "뇌파 밴드별 상호 연관성에 따른 뇌기능 최적화 연구", 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03-108, 2005.
  9. 정상철,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10. 손주희 , "미용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동덕여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1. Busfield. G., "Gender mental illness and psychiatry", Tnavistock, London., 1983.
  12. 노재현, "중년 여성의 수영 운동 참여가 스트레스해소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3. 정숙이, "문헌고찰(스트레스)", 2004, http://blog.naver.com/0142suk?Redirect=Log&logNo=40003380320
  14. Selye, H., "The Stress of Life rev. ed.", New York: McGraw Hill look Company., 1976.
  15. 배병훈, "사람의 뇌기능 비침습 계측을 위한 새로운 측정기 개발 신경전기전도 프로브", 한국과학기술원박사학위논문, 1999.
  16. Mark F. Bear, Barry W. Connors, Michael A. Paradiso, "Neuroscience: Exploring The Brai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rd Ed.
  17. 김용진, 김학현, 박재근, 채희경, 박미아, 강경미, 조선희, 민윤기, "문제풀이 활동에서 뇌파측정에 의한 두뇌 기능 상태의 평가",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3): 291-301, 2000.
  18. 이홍재, 박은혜, 박창범, 김현택, "시각적 공간과제의 수행성적과 사건관련 뇌전위에 미치는 뇌파 biofeedback의 효과", 고려대 심리학과, 2000.
  19. Simonov, P. V, "Brain mechanisms of emotions". Neurosci. Behav. Physiol., 27 (4), 405-413, 1997. https://doi.org/10.1007/BF02462942
  20. Peniston, E.G., Marrinan, D.A., Deming, W.A., & Kulkosky, P.J., "EEG alpha-theta brain-wave synchronization in Vietnam theater veteran with combat-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lcohol abuse". Medical Psychotherapy: An International Journal, 6, 37-50, 1993.

Cited by

  1.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Big 5 Personality Traits and SRQ of Brain Quotient vol.16, pp.6,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5.16.6.3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