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ypes of attitude toward senile dementia

노인성 치매에 대한 태도 유형 연구

  • Kim, Jee-Yeon (Ntelligent Games Inc.) ;
  • Jung, Jae-Bum (Creative Informatics & Computing Institute, Korea University) ;
  • Park, Moon-Ho (Department of Neurology,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Park, Kun-Woo (Department of Neurology, Korea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Choi, Moon-Gee (Academy of General Education, Korea University)
  • 김지연 ((주)엔텔리전트 게임즈) ;
  • 정재범 (고려대학교 정보창의교육연구소) ;
  • 박문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박건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최문기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실)
  • Received : 2010.05.27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As the number of the elderly increases, concerns about senile dementia and serious game for dementia are gr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of attitude toward senile dementia. To identify public attitudes toward senile dementia, we conducted Q methodology. A Q set of potential public attitudes toward senile dementia was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From this, 52 potential public attitudes toward senile dementia were identified. Twenty subjects ranked these explanations as possible public attitudes. The attitudes toward senile dementia were classified as 4 types : 'type1 : idealistic & expectant', 'type 2 : aversive & defensive', 'type 3 : active & realistic', and 'type 4 : responsible & compensatory'. This study revealed that people have different explanatory frameworks for the attitude toward senile dementia.

노인 인구의 급증과 함께 노인성 치매 문제와 노인들을 위한 기능성 게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용 기능성 게임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로서 치매에 대한 태도 유형과 그 특성을 Q 방법론과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에 대한 태도는 방관하는 이상주의형, 도망가고 싶은 의무방어형, 적극적 현실주의형, 고생하신 어른에 대한 보은형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각 유형 별 컴퓨터/ 인터넷 이용 빈도, 치매 관련 게임 이용 여부, 치매 예방용 기능성 게임 이용 의사 설문 조사한 결과, 방관하는 이상주의형과 적극적 현실주의형이 향후 치매 예방용 기능성 게임의 잠재적 사용자 집단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기능성 게임뿐만 아니라 치매와 관련한 다양한 제도나 정책들이 제안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치매에 대한 태도와 각 유형별 특성을 탐색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가족부, "2008년 보건복지가족통계연보", 보건복지가족부, 2008.
  2. M. H. Park, S. A. Jo, I. Jo, E. K. Kim, E. K. Woo, S. S. Kim, S. Y. Eun, C. S. Han, & M. K. Park, "Awareness of putative risk factors for Alzheimer's disease among elderly Koreans", Acta Neuropsychiatrica, Vol. 20, No. 1, pp. 20-24, 2008. https://doi.org/10.1111/j.1601-5215.2007.00230.x
  3. 임춘식, "치매노인을 위한 노인복지정책의 과제", 한국노년학, 제 20권, 1호, pp. 37-54, 2000.
  4. 배재환, "기능성 게임이 가져야 할 필수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 11권, 5호, pp. 28-36, 2006.
  5. 오현숙, 이경미, "가족부양자의 노화과정에 대한 지식 및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노년학연구, 제 17권, pp. 73-81, 2008.
  6. 유은정, "집단 지지프로그램이 치매환자 가족 간호자에게 미치는 효과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 논문, 2002.
  7. A. Marriott, C. Donaldson, N. Tarrier, & A. Burns, "Effectiveness of cognitive-behavioral family intervention in reducing the burden of care in carer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76, pp. 557-562, 2000. https://doi.org/10.1192/bjp.176.6.557
  8. 김희진, 박기봉, 김승현, "치매이해도 및 요구도: 성동구 치매지원센터에서의 조사", 대한치매학회지, 제7권, 2호, pp. 52-63, 11월, 2008.
  9. 김정아, 고자경, 문숙남, "중년 성인의 치매지식과 관련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 18권, 2호, pp. 293-392, 6월, 2006.
  10. 한동희, "노인의 치매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 14권, 1호, pp. 69-83, 1994.
  11. 김영란, 김광일, "노망에 대한 태도조사: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경정신의학, 제 34권, 2호, pp. 462-474, 1995.
  12. S. Watts, & P. Stenner, "Doing Q methodology: theory, method and interpretation",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Vol. 2, No. 1, pp. 67-91, 2005. https://doi.org/10.1191/1478088705qp022oa
  13. 김흥규, "Q 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14. 조현오, "치매에 대한 일반인의 지식과 태도 조사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99.
  15. 황상민, 유상원, 김지연, 김리진, "소비행동으로 구분되는 한국 사회의 소비자 유형과 소비문화적 특성: 누가 무엇을 위해 소비하는가?", 주관성연구, 제 13 권, pp. 25-39, 2006.
  16. 도영임, "온라인 게임 세계 속에서 경험하는 자기인식과 자기 변화: 마비노기 사용자의 발달적 경험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9.

Cited by

  1.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Older Adults in Nursing Homes vol.19, pp.2, 2016, https://doi.org/10.7587/kjrehn.2016.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