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 및 지하구조물의 내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Resistance Character of a Tunnel and an Underground Structure

  • 투고 : 2010.03.30
  • 심사 : 2010.04.09
  • 발행 : 2010.04.26

초록

최근 지하철 시공 확대와 국토의 지형적인 특수성, 시공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장대터널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터널 및 지하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화재는 지하공간이라는 폐쇄된 공간특성으로 인해 지상화재에 비해 많은 인명과 경제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국내의 경우 터널 및 지하구조물에 대한 내화 연구가 진행 중이나 고온 시 콘크리트의 폭열 발생으로 인한 내하력 저하 및 안전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가열 온도곡선(RABT 및 RWS)에 따른 콘크리트 내화 특성을 평가하고 실제 발생한 화재사례와 비교 검토하여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한요소 기반의 수치모델을 적용한 열-역학 연동해석을 실시하여 화재로 인한 지하구조물의 단면 손실 및 손상정도를 예측 평가하였다.

Recently, a longitudinal tunnel construction has increased because of subway construction extension, geomorphological effect and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ies etc. When the fire occurs in a tunnel and an underground structure, the many damage of human life and the economic losses are caused. In Korea, fire resistance character study of a tunnel and an underground structure is proceeding. However, when a concrete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study of load carrying capacity reduction and stability evaluation for spalling of a concrete is not enough. Therefore in this study, fire resistance character of a concrete evaluated according to time heating temperature curve(RABT and RWS) and a result compared on virtual fire accident in order to apply fire scenario. Also this study performed thermo-mechanical coupled analysis of a FEM-based numerical technique and estimated fire-induced damage of a tunnel and an underground struc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PIARC (1999) Fire and Smoke Control in Road Tunnels, PIARC Committee on Road Tunnels.
  2. G. A. Khoury (2002) Passive protection against fire, Tunnels & Tunnelling International, pp. 40-42.
  3. A. Haack (1998) Fire protection in traffic tunnels: general aspects and results of the EUREKA project,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13(4), pp. 377-381. https://doi.org/10.1016/S0886-7798(98)00080-7
  4. 최준석, 최병일, 김명배 (2002) 실물터널 화재실험을 통한 터널화재 위험도 평가, 한국화재소방학회지, 16(3), pp. 71-76.
  5. 홍사훈, 노경철, 유홍선, 이성혁 (2009) 철도터널 화재 시 구난역 내의 연기거동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12(1), pp. 25-30.
  6. Y. Anderberg (1997) Spalling phenomena of HPC of OC,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Workshop on Fore performance of High-Strength Concrete, NIST, USA, pp. 69-73.
  7. K. Pieere, C. Gregoire, and G. Christophe (2001) High-temperature behaviour of HPC with polypropylene fiber from spalling to microstructure, Cement & Concrete Research, 31, pp. 1487-1499. https://doi.org/10.1016/S0008-8846(01)00596-8
  8. 장수호, 최순욱, 배규진, 안성율 (2008) 요소제거기법을 적용한 지하구조물의 화재손상 예측모델 개발, 한국터널공학회논문집, 10(4), pp. 1-15.
  9. ENV Eurocord 2 (1995)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Part 1-2 : Genreral rules-structural fire design, 1992-1-2.
  10. 대구지하철공사 (2003) 대구지하철 1호선 중앙로역 정밀 안전진단보고서, pp. 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