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um $CO_2$ Concentration for Fruit-body Formation and Yield of Pleurotus ferulae Mushroom in the Growing Facilitiy for Bottle Cultivation

재배사내 $CO_2$ 농도가 아위느타리버섯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원선이 (경기도농업기술원 원예산업연구과) ;
  • 장명준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 주영철 (경기도농업기술원 버섯연구소) ;
  • 이용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Received : 2010.05.18
  • Accepted : 2010.06.07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effects of $CO_2$ concentration on fruit-body formation and yield of Pleurotus ferulae (KME65003) mushroom were examined in the growing facilities for bottle cultivation. The $CO_2$ concentration levels in the growing facilities were 500 ppm, 1000 ppm, 1500 ppm and 2000 ppm of $CO_2$, controlled by different ventilation amount. Yield of fruit body was highest of 102.4 g/bottle at 1000 ppm treatment and lowest of 75.1 g/bottle at 2000 ppm. As the $CO_2$ concentration increased up to 2000 ppm, the first pinhead formation and fruit-body growing period took longer, so total growing period took 16 days at 500 ppm, but 23 days at 2000 ppm. The number of pinhead formation was highest of 12.2/bottle at 1500 ppm and valid stipes was highest of 2.8/bottle at 1000 ppm. Fruit body characteristics such as pileus and stipe diameter, and stipe length were not significant at different $CO_2$ concentration. The fruit body ratio of 20~50 g range among the whole fruit body which was classified by weight was highest of 60.3% at 1000 ppm. As a result, the suitable $CO_2$ concentration of growth and yield of Pleurotus ferulae was showed as 1000 ppm.

아위느타리버섯에 대한 재배사내 $CO_2$ 농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여 시설재배에 적합한 $CO_2$농도를 구명하고자 재배사의 $CO_2$ 농도를 500, 1000, 1500, 2000ppm으로 조절하면서 재배시험을 실시한 결과, 자실체 수량은 $CO_2$ 1000ppm 처리에서 102.4g/병으로 가장 높았고, $CO_2$ 2000ppm 처리에서 75.1g/병으로 가장 적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CO_2$ 농도에 따른 초발이 소요일수는 $CO_2$ 농도가 증가할수록 길어지는 경향으로 $CO_2$ 500, 1000ppm 처리에서는 6일, $CO_2$ 1500, 2000 처리에서는 각각 8일과 9일이 소요되었으며 생육일수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수확에 소요되는 전체 재배일수는 $CO_2$ 500ppm 처리에서는 16일, $CO_2$ 2000ppm 처리에서는 23일로 나타났다. 아위느타리버섯의 생육상황은 발이개체수는 1500ppm 처리에서 12.2개, 유효경수는 1000ppm 처리에서 2.8개로 가장 많은 경향이었고, 자실체 갓직경, 대직경, 대길이 등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자실체의 비정형과 발생율은 $CO_2$ 500, 1000, 1500ppm 처리에서는 4.0~7.3%로 유의차가 없었으나 2000ppm처리에서 13.8%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중량에 따른 등급별 분포는 50g 이상은 갓의 신장이 1~2개체에서만 두드러졌던 500ppm 처리에서 10.3%으로 가장 높았으나, 상품화가 가능한 상등급과 중등급의 비율은 $CO_2$ 1000ppm 처리에서 65.4%로 가장 많았고. $CO_2$ 2000ppm 처리에서는 20g 이하의 하품의 비율이 59.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기 자실체 갓과 대의 경도, 응집성, 검성 등의 물리적 특성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어 $CO_2$ 농도가 수확기의 자실체 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아위느타리버섯 대량생산을 위한 시설재배사의 적정 $CO_2$ 농도는 자실체 수량과 유효경수가 많고 상품화가 가능한 중량의 개체 생산비율이 높은 $CO_2$ 1000ppm 처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Chang, S.T., J.A. Buswell, and S.W. Chiu. 1993. Mushroom Biology and Mushroom Products. p.370.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Hong Kong.
  2. Lee, H.-U., M.-J. Ahn, S.-W. Lee, and C.-H. Lee. 2007. Effects of Various Ventilation Systems o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Fruiting Body Formation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Grown in Culture Bottles. Journal of Life Science 17(1):82-90. https://doi.org/10.5352/JLS.2007.17.1.082
  3. Kim, K.H. 2005. The Stratedy and Counterplan of Mushroom Cultivating Management for increase of the stable income. Cheonan Yunam Collage. pp.39-55 (in Korea).
  4. Jung, K.J., D.S. Choi, H.K. Choi, and K.C. Jung. 2005. Development of Growing Method of Pleurotus ferulea Lanzi. Annual Report of Jeollabuk-Do ARIS. pp.794-802.
  5. RDA. 2003. The Standard Guide Book of Research, investigation and Analysis in Agricultural Science Technology.
  6. Chang, S.-T. and Phlip G. Miles. 2004. Mushrooms(Cultivation, nutritional Value, Medicinal Effect,and Environmental Impact.
  7. Sung, J.M., Y.B. Yoo, and D.Y. Cha. 1998. Mushroom Science. p614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8. Ha, T.M., Y.C. Ju, and J.H. Chi. 2002. The Growing Technology of New Oyster Mushroom Cultivar in Bottle Culture. Annual Report of Kyounggi-Do ARES. pp.733-761.
  9. Ju, Y.C., T.M. Ha, J.H. Chi, and G.J. Lim. 2004. Studies on Production Cost Reduction and All the Year Round Production System for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Bottle Culture. RDA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