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end of Foreign Professional Workers' Influx and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in South Korea

우리나라의 외국인 전문직 이주자 현황과 지리적 분포 특성

  • Yim, Seok-Hoi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aegu University) ;
  • Song, Ju-Youn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Daegu University)
  • 임석회 (대구대학교 지리교육과) ;
  • 송주연 (대구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학과)
  • Received : 2010.03.23
  • Accepted : 2010.05.0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recent years, international migration of professional workers is significantly increasing as globalization has been deepened more and more. South Korea is not an exception for this case. Immigration of professional workers have steadily increased since 2000 in Korea, and the number reached approximately to 50,000 in 2009. In addition, it is a major trend that immigrants of short-sojourn are decreasing and ones of long-sojourn increasing. Our research shows that foreign language instructor has the greatest number of foreign professional immigrants. The next is professional immigrants related to business-activities. There are considerably entertainers, but they have greatly decreased since 2003. Majority of foreign professional immigrants settle down in a few metropolises. Especially, they reside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Southeast coastal region. Professional immigrants trend to do with Korean on the base of their offices rather than residental communities in terms of adaptation, and they do not have strong will to reside permanently in Korea. Moreover, they are located at a blind spot of Korean government's foreign immigrant policy, comparing to foreign workers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

세계화와 더불어 최근 국제인구이동의 한 경향은 단순기능인력뿐만 아니라 전문직 종사자의 초국적 이주 또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2000년 이후 전문직 이주자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09년 현재 그 수가 5만여 명에 이른다. 이러한 외국인 전문직 이주자 증가의 또 하나의 특징은 단기체류자에 비해 장기체류자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유형별로는 외국어 강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기업투자, 특정직업 등 기업활동과 관련된 전문직 이주자가 많다. 연예 스포츠 관련 전문직 이주자도 적지 않지만 2003년 이후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출신지역은 지리적으로 근접한 아시아가 가장 많지만, 외국어 강사의 경우 북미 지역 출신이 많은 것처럼 유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이들의 거주지역은 거의 대부분 대도시로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비중이 크고 공업지역인 거제도와 같은 남동연안지역에도 적지 않게 분포한다. 적응이란 관점에서 보았을 때, 전문직 이주자의 한국인과의 교류는 거주지역보다는 직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며 한국에 영구정착 의지가 크지 않은 편이다. 또한 정책적으로도 이주노동자나 결혼이주자에 비해 이들은 상대적 사각지대에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