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Place Names on "Daedongyeo-jido" and "Cheonggu-do"

목판본 "대동여지도"와 "청구도"의 지명 비교 연구

  • Lim, Joung-Ox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Ki-Hyu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임종옥 (부산대학교 사범대 지리교육과) ;
  • 김기혁 (부산대학교 사범대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0.03.12
  • Accepted : 2010.05.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se the place names on "Cheonggu-do"("靑邱圖", manuscript edition, 1834) and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woodblock-edition, 1861). Though the same person-Kim, Jungho(金正浩)- published those maps, and the latter was based on the former map, place names on thos maps are very different. The hypothesis is that those different information on maps were not from the cartographic, but from the social aspects at that times. The whole township names on "Cheonggu-do" were erased in "Daedongyeo-jido". The other names such as mountain, river, port, castle, beacons, official waer houses were recorded instead of township. Especially military names which were recorded newly in "Daedongyeo-jido", such as castle, beacon, ranches for the defense of nation, was geographical distributed in a strategic and key point in the northern and coastal area. This shows that there were rules for the mapping of "Daedongyeo-jido" and those rules could be come from the social demand.

본 연구는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수록 지명을 "청구도"와 비교함으로써 목판본 제작 과정에서 필사본을 바탕으로 목판본이 제작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가했고, 이에 반영된 수록 원칙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두 지도가 동일 계열임에도 불구하고 수록 지명에 있어서 적지 않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청구도"에서 가장 많이 삭제된 지명은 방리 지명으로 목판본 제작시 이의 삭제 원칙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지명이 삭제된 대신 다른 유형의 지명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대동여지도"의 추가지명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산과 하천, 해안 지명과 함께 진(포), 진보, 역참 및 창고지명 등이다. 수록 지명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이루어 진 것은 당시 지도 제작 과정에서 수록 원칙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추가지명 중 인문 지명의 분포는 자연지명과는 달리 지리적인 분포에서 일정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특히 군사 방어적인 성격을 지니는 진보, 봉수, 역참, 창고 지명은 북부 지역에서 집중 분포한다. 적지 않은 목장 지명이 새롭게 기재되는 것도 이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목판본 "대동여지도"의 지명을 수록하는데 밝혀진 원칙은 지도 제작의 사회적인 측면을 엿볼 수 있게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