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Fish Fauna in Lake Ganwol and Lake Bunam Watersheds

간월호 수계와 부남호 수계 일대의 어류상 비교

  • 이충렬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전병일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Received : 2009.09.19
  • Accepted : 2009.12.02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From April to October 2008, fish fauna was surveyed at 25 sites in Lake Ganwol and Lake Bunam watersheds. There were 32 species of 25 genera and 10 families belonging to 5 orders. Among them, Zacco platypus (relative abundance was 28.0%) was dominant, followed by Hemiculter eigenmanni (24.3%), Carassius auratus (19.3%), and Pseudorasbora parva (10.8%). In comparison of specific frequency in fish community between two lakes, Z. platypus (36.6%) was dominant and P. parva (15.7%) subdominant in Lake Ganwol, whereas H. eigenmanni (35.2%) and C. auratus (30.4%) were dominant in Lake Bunam. Eight species including Acheilognathus chankaensis were known to be Korean endemic species, and exotic species was Micropterus salmodes. Biological indices of fish community indicated mostly similar values in 25 sites. Specific similarities of fish community in the site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groups: a group of the Waryong Stream and the Dodang Stream where water flows throughout the year, and the other group of watersheds at Lake Ganwol and Lake Bunam where water was static. Fish fauna and structure of fish communities have some differences between Lake Ganwol and Lake Bunam watersheds, and also can be distinguished to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habitats in same watershed.

간월호와 부남호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에 대한 조사가 2008년 4월부터 10월까지 25개 지점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총 5목 10과 32종으로써, 이 중에 1차 담수어류가 전체 어류의 84.4%를 나타내었다. 한편 본 조사 구역에서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우점종으로는 Z. platypus (28.0%)였고, 아우점종은 H. eigenmanni (24.3%)였으며, 그 외 C. auratus (19.3%)와 P. parva (10.8%)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출현하는 어류를 호수별로 비교해 보면, 간월호 수계에서는 모두 4목 10과 26속 30종이 확인되었는데, 이들 중에 우점종으로는 Z. platypus (36.6%)였고, 아우점종은 P. parva (15.7%)인데 반해, 부남호 수계에서 5목 9과 17속 19종으로써 이 중에 H. eigenmanni (35.2%)가 우점종이었고, 아우점종은 C. auratus (30.4%)였다. 우리나라의 고유어종은 A. chankaensis, A. springeri, M. yaluensis, S. gracilis majimae, H. eigenmanni, O. platycephala, O. interrupta, P. koreanus 등의 8종이었고, 외래 도입어종은 M. salmoides가 확인되었다. 조사 구역에서 출현한 어류 군집의 생태 지수값은 각 조사 지점 간에 서로 유사하였고, 어류의 종 출현의 지점별 유사도는 연중 물 흐름이 있는 와룡천과 도당천 집단과 그 외 간월호와 부남호의 비유수성 수계 지역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간월호와 부남호 수계에서 출현하는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는 두 호수 사이에서도 약간 차이가 있었고, 또한 동일 수계에서도 서식처의 환경 요인에 따라서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서울.
  2. 김익수, 최 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서울.
  3. 김익수, 최충길, 손영목. 1986. 영산호의 어류군집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8: 53-66.
  4. 손영목, 송호복. 2006, 금강의 민물고기. 지성사, 서울.
  5. 이충렬. 1992. 금강하구언 축조 이후 어류군집의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3(3): 193-204.
  6. 전상린. 1987. 낙동강 하류역의 어류상에 관하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9: 77-90.
  7. 조흥래. 1995. 한국의 간척. 농어촌진흥공사. 282p.
  8. 최기철. 1976. 아산호산 어류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9: 31-44.
  9. 최기철. 1987. 충남의 자연(담수어 편). (사)한국과학기술진흥 재단, 서울.
  10. Nelson, J.S. 1994. Fish of the world. John Wiley & Son, New York.
  11.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 Journal of Thedot. Biology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
  12. Sha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ois, Urbana, 117p.
  13.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14. Sorensen, T. 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et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K. Danske vidensk. Selsk. 5: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