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Water Level Rising Travel Time due to Discharge of Paldang Dam and Tide of Yellow Sea in Downstream Part of Paldang Dam

팔당댐 방류량과 황해(서해) 조석영향에 따른 팔당댐 하류부 수위상승도달시간 예측

  • 이정규 (한양대학교 제1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 이재홍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2.03
  • Accepted : 2010.03.0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As the Jamsu-bridge and the floodplains of the Han River can be flooded during the rainy season, the exact prediction of the peak flood time is very important for mitigation of flood hazar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outflow of Paldang Dam and tide of Yellow Sea on the Han River. A target area is from the Paldang dam to Jeonryu gauging station. Water level of Jeonryu as a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 was estimated through multi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outflow of Paldang dam and tide level of Incheon, because it was influenced by both a tide of Yellow Sea and outflow of Paldang dam. In this study, Water Level Rising Travel Time of the Jamsu-bridge and some floodplains in the Han River are estimated. Also, The second order polynomial expressions for relationships of outflow of Paldang Dam and Water Level Rising Travel Time were developed considering the outflow of Paldang dam and tide of Yellow Sea.

한강의 잠수교와 둔치는 장마철에 큰 홍수가 발생하면 침수가 되기 때문에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홍수로 인한 침수 발생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FLDWAV모형을 이용하여 한강하류부의 팔당댐 방류량과 황해(서해) 조석이 한강하류부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구간은 팔당댐 하류부에서 전류지점까지이며, 조석영향을 고려하기위해 하류경계조건인 전류수위는 팔당댐방류량과 인천조위를 이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산정된 예측 전류수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잠수교와 주요 둔치에서 수위상승도달시간을 산정하였고, 팔당댐 방류유형과 황해조석에 따른 수위상승도달시간을 팔당댐 방류량의 함수인 2차다항식으로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88) 한강하류 하천연안 개발계획 보고서
  2. 건설교통부 (2006) 금강하류부 하도의 홍수예측 모형 개발
  3. 김상호, 김원, 김동구 (2001) 서해 조위로 인한 한강의 흐름특성 분석. 2001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I), 한국수자원학회, pp.733-738
  4. 김상호, 김원, 김동구, 최흥식 (2002) 한강본류에 대한 실측조위 와 예측조위의 영향분석. 2002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I), 한국수자원학회, pp.609-614
  5. 김상호, 김원, 이을래, 최규현 (2005) 한강하류부 신곡수중보의 수리학적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5호, pp.401-413
  6. 윤용남, 박무종 (1992) 수리학적 홍수추적에 의한 댐 방류시 하류수위 및 주요 하도구간별 홍수도달시간의 예측.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5권, 제3호, pp.115-124
  7. 이종태, 한건연, 서병하 (1993) 한강의 홍수규모에 따른 인도교수위의 조석영향 분석. 한국수문학회지, 제26권, 제2호, pp.67-77.
  8. 한강관리사업소 (2000) 한강수로 조사 용역 보고서, 서울특별시
  9. 한국수자원학회 (2004) 제15회 수공학 웍샵 교재
  10. 해양수산부(2001) 한강.임진강 유역에 대한 조위 영향 연구
  11. Fread, D.L. and Lewis, J.M.(1998). The NWS FLDWAV Model Quick Users Guide, NOAA, Silver Sp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