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ng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Aged Bridges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al Deterioration of Point Parts

지점부의 기능저하를 고려한 노후교량의 내하력평가

  • 양승현 (조선이공대학 토목건설과)
  • Received : 2010.03.15
  • Accepted : 2010.04.05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Structural analysis used to evaluate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a bridge should implement behavior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actual behaviors of the structure through loading tests, but it is not feasible in many cases due to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points, inadequate modeling method in structural analysis, errors in loading tests, changes in strength and rigidity resulting from cross-sectional damage, etc. This problem can be more serious if bridge bearings have been damaged or were not installed and, consequently, the bearings do not function properly. This study produced results similar to actual behaviors using a structural analysis model built with support moment derived from the difference $\Delta{\delta}$ between measured deflection obtained by confining the cantilever segment of a solid beam and calculated deflection under a unrestrained condition. When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a bridge in operation was evalu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nement condition of supports, the result was 15~19% lower than load carrying capacity calculated by the existing method.

교량의 내하력을 평가할 때 수행되는 구조해석은 재하시험을 통한 구조물의 실제거동과 유사한 거동특성을 구현하여야 되나 지점의 거동특성, 구조해석시 모델링 방법, 재하시험의 오류, 단면손상에 따른 강도 및 강성변화 등으로 인해 그렇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교량받침이 손상하였거나 설치되지 않아 받침의 기능수행이 미비한 교량에서 이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모델링을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보의 내민구간을 구속시켜 얻어진 실측처짐($\delta$실측)과 비구속상태에서의 계산처짐($\Delta$계산)과의 차이값인 $\Delta{\delta}$으로부터 얻어진 지점모멘트를 구조해석모델에 작용시켜 실제거동과 유사한 해석결과를 얻었다. 이에 따라 실제 공용중인 교량을 대상으로 지점의 구속조건을 고려하여 내하력을 평가한 결과 기존 방법에 의한 내하력에 비해 15~19% 적게 평가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갑수, 이영일, 이희현, 박용진 (1998) 장기처짐계측에 의한 노후교량의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2권 제3호, pp.194-204.
  2. 구봉근, 한상훈, 신재인, 이상순 (2001) 통행차량에 의한 내하력평가기법 연구, 한국구조물진단 학회 제5권 제3호, pp.115-122.
  3. 박흥석, 박기태, 이규완 (2001) 측정변형율을 이용한 RC구조물의 변위응답 특성분석에 관한 실험 적 연구,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5권 제3호, pp.173-180.
  4. 신재인, 박창호, 이상순, 이병주 (2007) PSC박스교량의 통행차량에 의한 내하력 평가기법 개선,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11권 제4호, pp.147-151.
  5. 양승이, 김한중, 김진성 (2003) 교량의 내하력평가 및 농로교의 하중시험,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 7권 제1호, pp.239-249.
  6. 오병환, 김기수, 신호상, 이웅종 (1997) 교량구조물의 개선된 내 하력평가기법,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1권 제1호, pp.53-64.
  7. 최동호, 유동민, 정구상, 박경부 (2007) 내하율을 이용한 강합성 보의 외부 프리텐션과 포스트텐션 보강 설계,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11권 제5호, pp.123-134.
  8. Wang, C.K. (1985) "Intermediate Structural Analysis", McGraw-Hill College, pp.13-70.
  9. 高島春生 (1998) 도로교 횡분배 실용계산법, 원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