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Branding Strategies of Medical Devices in Wonju Cluster

원주의료기기 클러스터 공동브랜드 활성화 방안

  • Lee, Woo-Chun (Dept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SangJi University)
  • 이우천 (상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Received : 2010.05.13
  • Accepted : 2010.08.1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a co-brand strategies of medical equipment manufacturers in Wonju city.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llowings were proposed. First, an adequate education and a publicity for the importance of a co-brand are required, and it needs to reinforce the recognition on quality differentiation through a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Second, establishing a system to secure the brand reliability and operating a program to monit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quality are required. Third, it needs to implement a joint participation with priority for establishing a sales network, advertize and a publicity. Fourth, an alternative may needed in order to maximize the synergy effect of the co-brand project and minimize any possible conflicts among participants. Fifth, securing a reliability is needed to acquire the ability to manage the brand and derive member's active participation.

본 연구는 의료기기 공동브랜드 사업 활성화를 위하여 원주에 소재한 57개 의료기기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제품경쟁력 결정요인, 주력제품 부족요인, 공동브랜드 참여의사, 그리고 공동브랜드 성공가능성 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각 기업이 응답한 최빈수의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하여 공동브랜드의 중요성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기술개발을 통한 제품차별화와 지속적인 품질관리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기업들이 요구하는 국내외 판매망 구축, 광고 및 홍보, 그리고 전시회 공동참여를 우선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공동브랜드 사업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참여기업의 갈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공동브랜드 사업의 안정적 수행을 위하여 브랜드 관리주체의 경영역량과 신뢰 확보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Espicom, "Medical Market Forecasts to 2011", pp.1-28, p.76, May 2007.
  2.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의료기기편람 2009", pp.57-92, 2009.
  3. 특허청, "중소업체의 공동상표개발 및 지원현황", p.1, 1995.
  4. Sonia Dickinson, Tara Heath, "A comparis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concerning evaluations of co-branded offerings" Brand Management, Vol.13, No.6, pp.393-406, July 2006. https://doi.org/10.1057/palgrave.bm.2540281
  5. Ed Lebar, Phil Buehler, Keven Lane Keller, "Brand Equity Implications of Joint Branding Program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pp.413-425, Dec. 2005.
  6. Anders Bengtsson, "Unnoticed Relationships: Do Consumers Experience Co-branded Product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9, pp.521-527, 2009.
  7. Barbara A. Lafferty, "Selecting the Right Cause Partners for the Right Reasons: The Role of Importance and Fit in Cause-Brand Alliances", Psychology & Marketing, Vol.26(4), pp.359-482, April 2009. https://doi.org/10.1002/mar.20277
  8. Bernd Helmig, Jan-Alexander Huber, Peter S. H. Leeflang, "Co-Branding: The State of Art", Co-Branding sbr 60, pp.359-377, Oct. 2008. https://doi.org/10.1007/BF03396775
  9. Rikard Larsson, Kenneth R. Brousseau, Michael J. Driver, Mikael Holmqvist, and Veronika Tarnovskaya, "International growth through cooperation: Brand-driven strategies, leadership, and career development in Sweden",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 17, No. 1, pp.7-21, Feb. 2008.
  10. 중소기업은행, 한국의 중소기업, "중소기업 공동마케팅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 p.130, 1996.
  11. 이환우, "중소기업 공동브랜드 지원사업의 활성화 방안",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31-56, 2008.
  12. 이석희, "대구지역 의료기기산업 역량분석과 육성전략", 대구경북연구원, pp.37-41, 2005.
  13. 권용덕.김현수, "경남지역의 농산물 공동브랜드 육성방안", 경남발전연구원, pp.9-19, 2008.
  14. 지석규, "가구산업의 공동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14, 2007.
  15. 김번욱.이광희, "강화인삼의 세계 명품화 추진방안", 인천발전연구원, pp.101-143, 2007.
  16. 이경탁, "안경테산업의 공동브랜드화 전략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논총, 제41집, 한국경영교육학회, pp.265-285,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