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s-Movement of Slope Material Since the Last Glacial Period at Angol Basin within Downstream Area of Gurongcheon in Cheonan, Choongnam Province

충남 천안 구룡천 하류부 안골유역의 최종빙기 이후 사면물질이동

  • PARK, Ji-Hoon (Dept. of Geograph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eong (Dep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Korean Institute of Geographical Research)
  • 박지훈 (공주대학교 지리학과) ;
  • 박경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한국지리연구소)
  • Received : 2010.09.14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e history of mass movement has been reconstructed from the Angol basin in Guryongcheon drainage basin. Sedimentary facies study, radiocarbon dating, particle size analysis, magnetic susceptibility and geomorphological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to reconstruct the paleo-environmental history of Angol basin. From 40,480 to 9,850yrBP there were five periods of slope instability and from 9,850yrBP to present there were at least four periods of slope instability. Magnetic susceptibility curves match well with the sedimentary facies data. This study may help reconstruct the denudational history of the small basins in Cheonan area and could be the cornerstone of the paleo-climatological study of the Korean Peninsula.

구룡천 하류의 안골유역에 있어서 최종빙기 이후 유역을 구성하고 있는 구릉사면에서 기원한 사면물질이동의 이력을 구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층상해석·층서해석, 탄소연대측정, 입도분석, 대자율분석 및 안골유역의 지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약 40,480~9,850yrBP에 걸쳐서 안골유역의 구릉사면에서 유역의 곡저로 이동·퇴적된 사면기원 무기물층의 사면물질이동은 최소 5회가 존재했으며, 약 9,850yrBP~현재까지 조사유역에서 발생한 사면물질이동은 적어도 4회가 있었다. 퇴적상 연구결과는 대자율 분석과 입도분석의 결과와도 조화롭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천안 일대 소유역에 있어서 구릉사면의 삭박과정 및 최종빙기 이후 기후변화 복원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며 나아가 우리나라 다른 지역연구를 위한 유용한 사례연구가 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0년 재)금강문화유산연구원에서 지원한 과제(과제명 : 부여 가탑리 가탑들 유적의 자연과학적 연구, 연구기간 : 2010.02.01-2011.01.31, 과제번호 : 20100036KJ)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