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port on Patterned Ground in the Baekdusan

백두산 일대에 나타나는 구조토 보고

  • CHOI, In-Soo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EONG, Yeong Bae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KIM, Jong Woo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RK, Seung-Phil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I, Chun Jing (Department of Geography, Yanbian University)
  • 최인숙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 성영배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
  • 김종욱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
  • 박승필 (전남대학교 지리학과) ;
  • 이춘경 (중국 연변대학교 지리학과)
  • Received : 2010.02.18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n the patterned ground foun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Baekdusan during two fieldtrips of 2008 summer. The patterned grounds are found in two areas-Dalmun and Socheonji. The patterned ground found around Dalmun are well-sorted, having fine materials in the center and coarse (boulder size) materials in the rim, and stretching in the form of stairs. Meanwhile, the types of patterned ground found around Socheonji are various, including polygon, stripe, and circular patterns. The particle size analysis and morphological analysis of comprising materials are carried out only for the patterned ground of Socheonji. The mean short and long axis of the patterned grounds are 91cm and 163cm,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material size from the most samples increase toward the rim, indicating the patterned grounds are well-sorted. The comprising materials are dominated by silt, which is very susceptible for freeze-thaw cycle. The lower ratio of clay (low less than 10%), suggests that physical weathering is more dominant rather than chemical weathering. The involution structure found in the vertical section of the patterned grounds is likely to have formed by active cryoturbation which is one of the dominant geomorphic processes in the periglacial environments like the study area.

본 연구는 백두산 북부 지역의 현장 조사를 통해 발견된 구조토의 형태적 특징과 구성물질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백두산 북부 지역의 두 지역, 소천지 남서부 지역과 달문 서사면에서 구조토가 발견되었다. 달문 서사면에서 발견된 구조토는 거력들에 의해 중앙의 미립물질을 둘러싼 분급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사면의 방향을 따라 계단형의 구조토가 분포하고 있다. 반면 소천지 남서부에 분포하는 구조토는 사면의 방향에 따라 원형, 다각형, 선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발견되고 있다. 이들의 장경 평균은 163cm, 단경 평균은 91cm이다. 개체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구조토의 표면 구성물질의 입자 크기는 중앙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커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구성 물질의 분포는 실트의 비율이 매우 높아 토양의 동결과 융해 작용에 매우 민감하며 점토 비율이 10% 미만으로 매우 낮아 화학적 풍화보다 기계적 풍화가 우세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토양단면을 살펴보면 구조토의 내부에서 토양요동현상(Cryoturbation)에 의한 토층의 요동구조(Involution)가 발견되며 지하수의 수위 변동에 따른 산화, 환원작용에 의한 토층의 교란작용이 관찰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09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강화사업비)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KRF-2009-332-B00619)과 현지조사의 일부 비용을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특별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