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ypes of Han Riverside Forests -In the Case of Yangpyeng and Yeoju gun-

남한강변 강변숲 조성을 위한 유형분류연구 -경기도 양평·여주군 구간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09.11.24
  • Accepted : 2010.01.27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Riverside forests make a river bank stable because trees of them hold together the stone and soil by roots and decrease the speed of running fluid by trunks. So they become kn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flood prevention. So This study will be a basic study to preserve and restore of riverside forest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es of Han riverside forests between Yangpyeng and Yeoju gun. and find out sites of planting.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t up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ite survey. Two indicator categories were developed: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environment. And they were divided into 5 sub-categories for calculating weights. As for the major indicator categories, the weighted index of natural environment is at 0.5. And the weighted index of human environment is at 0.5 followed by access at 0.15, the range of user at 0.15, cultivated land at 0.1 and legislation at 0.1. This study selected 53 sites for riverside forests planting. They were classified with types of bank(11), level-upped riverside(32), island(10). The amount of the length of 11 bank types is 23,050m, the area of 32 level-upped riverside types is $4,490,000m^2$ and the area of 10 island types is $4,590,000m^2$. After the evaluation of 53 riverside forests, this study selected 12 sites of riverside forests. They were two bank types, nine level-upped riverside types, and one island type. Rebuilding riverside forests are to accomplish the green network which links and divides region. It will be one of the best ecological methods to construct friendly environmental region.

Keywords

References

  1. 경국대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역, 1985
  2. 경기도, 2007, 물길따라 역사따라
  3. 경기도, 2008, 경기도 물길이야기
  4. 고병주, 2009, AHP를 활용한 해양 관광지 개발적지 선정을 위한 연구, 건국대대학원
  5. 국토해양부, 1998, 하천구역내 나무심기 및 관리에 관한 기준
  6. 권갑근, 2008, 개수로 식생에 의한 에너지 손실의 실험적 연구, 한양대대학원
  7. 김덕진, 2006, 도시하천의 수변식생 복원기법에 관한 연구, 영남대대학원
  8. 김용문, 2001, GIS 도입을 통한 관광지개발의 적지평가 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청주대대학원
  9. 김학범, 1991, 한국의 마을원림에 관한 연구, 고려대박사학위논문
  10. 남영화외 1인, 1999, 전통 마을숲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통권 27호
  11. 서호석외 5인, 1995, 한국의 전통 환경보전림, 산림청 임업연구원
  12. 윤세의, 2005, 중랑천 하류부의 식재에 따른 수리특성분석, 경기대대학원
  13. 윤영봉, 2006, 폐기물 매립지 적지선정을 위한 평가방법 개발, 전남대대학원
  14. 이율경, 2005, 우리나라 하천식생의 군란분류 및 군락생태, 계명대대학원
  15. 이정, 2002, GIS를 이용한 관광지 개발 후보지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전남대대학원
  16. 이준호, 2002, 도시하천내 식생에 따른 홍수위 변화 연구, 경기대대학원
  17. 장동수, 1995, 한국 전통도시숲의 장소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박사학위논문
  18. 장동수, 2001, 수해방지림의 조경배경과 분포, 전통조경학회 19권 2호, pp.49-58
  19. 장동수, 2002, 조선시대 군사적 기능임수의 유형 및 입지에 관한 연구, 도시계획학회지 37권7호, pp.219-229
  20. 장동수, 2006, 경기도 여주군 팔대장림 복원에 관한 기초연구, 전통조경학회 24권1호, pp.78-84
  21. 장동수외 1인, 1994, 한국 전통도시숲의 분포, 유형, 기능, 임상에 관한 연구, 국토.도시계획학회지 통권 72호
  22. 장동수외 2인, 1995, 전통도시숲의 실용적 기능에 관한 연구(Ⅰ), 국토·도시계획학회지 통권 78호
  23. 장동수ㆍ백미나, 2009, 천변저류지 공간계획의 적합성 평가지표 선정, 생태건축학회지 9집3호, pp.21-27
  24. 정현정, 2002, 자연형하천으로의 한강연변 조경에 관한 연구, 한양대대학원
  25. 조선왕조실록
  26. 조점임, 2000, 도시공원조성에 있어서 계측분석가정을 이용한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동아대대학원
  27. 최종현, 2008, 민간 도시개발사업에 적용가능한 생태환경계획지표선정 연구, 대진대대학원
  28. 한강수계관리위원회, 2007, 한강수계 수변구역 관리기본계획
  29. 4대강살리기추진본부(http://www.4rivers.go.kr/company/business. 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