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Rice Growing Environment Against Cold Sea Wind in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n Peninsula

동해안 냉해풍지역의 벼 생육환경 연구

  • Received : 2010.02.09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is a major cause of rice yield reduction in 4 research points, 1, 2, 3, and 5km, from coastline in the East Sea. There were great changes of temperature in each research point, though the average temperature a day was no difference between each research point. Each temperature in 1, 2, and 3km research points was 8, 7, and $4^{\circ}C$ lower than in 5km when cold salty wind was generated due to cold pool. As it was close in coastline, its soil was abundant sand components, little silt and clay soil components and lacking in cation exchange capacity(CEC). And plant height became a smaller, heading date was delayed for 3~4 days, and dry weight was reduced. Also, it was to be down percent of fertile grain. As cultivation site was close in seaside, its decline was larger because of reduction of panicle number per hill. It was "Samdeogbyeo" that was variety adapted in cold salty wind, having yield potential more than 90% in 2km.

동해연안지역의 벼 생육부진 및 수량감소의 주된 요인분석을 위하여 해안으로부터 1, 2,3, 5 km의 4개 지점의 기상, 토양 및 벼 생육반응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해안거리별 일 평균기온은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냉수대 출현에 따른 냉해풍 발생시 온도변화는 뚜렷하여 5km에서보다 1 km지점에서 $8^{\circ}C$, 2 km지점 $7^{\circ}C$, 3 km지점 $4^{\circ}C$까지 온도가 낮아졌으며 냉해풍은 하루에도 수차례 발생하였음. 2. 해안거리별 토양특성은 해안에 가까울수록 모래성분이 많고 미사 및 점토성분은 적었으며, 양이온 치환용량이 적어서 작물이 비료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흡착력이 낮아졌음. 3. 해안에 가까운 재배지역일수록 초장은 작아지고 경수는 적었으며, 출수기는 3~4일 지연되었고, 벼 건물중 및 임실율은 낮아졌음. 4. 수량은 5km보다 1 km지점에서 27~36% 감수되어, 해안에 가까운 재배지역일수록 감수폭이 더 컸으며, 주된 감수요인은 주당수수의 감소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해안 2 km지점에서 90%이상의 수량성을 나타낸 품종은 냉해풍지역의 적응품종인 삼덕벼였음.

Keywords

References

  1. 박성태, 김순철, 이수관, 김칠용, 1988 수도주요생육시기별 풍해양상, 영남지역작물기상재해 : 165-179.
  2. 장순덕. 1979. 내륙과 연해지역 기상환경 차이가 수도 생육과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 농시보고 21(작물) : 189-198
  3. 최돈향, 한세기, 이동석, 김달수. 1981. 영동해안과 영남내육의 기상환경이 수도생육 및 수량형질에 미치는 환경. 최현옥박사 회갑기념논문집. p. 213-222.
  4. 최상진, 박래경. 1981. 벼 출수기 풍해의 발생요인과 양상에 관한 연구. 최현옥박사 회갑기념논문집. p. 207-212.
  5. 강양순, 김칠용, 노영팔, 정연태, 손양, 박래경. 1982. 내륙과 동해안지역간의 답지온의 차이가 수도생육 및 출수기에 미치는 영향. 농시연보(작물) 24:117-127.
  6. 김칠용, 박성태, 이재생, 박래경. 1983. 동해안 냉해풍지역의 수도생육 특성과 풍해실태에 관한 연구. 농시보25(작물) : 124-133.
  7. 김칠용, 박성태, 이재생, 임상종. 1986. 중남부 동해안지역 기상의 특수성과 풍해를 받은 벼의 생육특성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작물) : 28(1) : 48-54.
  8. 영남작물시험장. 1979. 태풍 "어빙호"에 의한 벼 백수현상 피해 조사. 영남농시보(수도) : 473-498
  9. 영남작물시험장. 1982. 태풍 "엘리스호" 통과 직후 건조풍에 의한 백수피해 실태조사. 영남농시보(특수지역연구) : 138-143.
  10. 영남작물시험장. 1985. 풍해저항성 실내 검정방법 시험. 영남 농시보(수도) : 631-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