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마을 환경색채 미도(美度)와 선호도 관계 및 적용성 연구

Aesthetic-Measure, and Visual Preference of Environmental Colors in Korea Rural Town

  • 이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
  •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Lee, 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 ;
  • Ahn, Tong-M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
  • 투고 : 2010.05.04
  • 심사 : 2010.05.17
  • 발행 : 2010.06.30

초록

Pro-environmental life styles, foundations of a collective civilization and preservation of our tradition at rural communities hold a great public profit value, of which importance has been strongly emphasized during last decade. Here, the environmental color i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elements that determine the image of the rural landscape. Whenever an alternative color element is introduced to rural town,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existing environmental color. Typically, a preference-surveying method has been us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such environmental color balance. However, we note that the reliability of this method is limited by the subjectivity of a respondent. And thus, it is highly desirable to develop a more objective method. We propose a feasibility study for using an aesthetic-measure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color of a rural town. In this work, we looked into the validity of our approach by comparing its result with that of the preference-based-method as a way to determine the environmental color. Our study is based on 20 photo images from Ansung-city Yangsung-myeon Donghang 2ri Kyo-dong town in Kyongki Provi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인 김창순, 1998, 색채감성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환경색채 비교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11(1), 11-21.
  2. 김미경, 2003, 도시의 지역성을 고려한 환경색채계획의 필요성과 방법-서울시 중구 청계천변 환경색채계획올 중심으로,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0(2), 90-98.
  3. 김한나, 2003, 환경색채의 시지각적 특성과 행태지원성에 관한 연구-테마파크 도입부의 이미지 형성과 동선유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 석사논문.
  4. 권진희, 1999, 제주의 고유색 현황과 도시지역 색채 문제 개선을 위한 환경색채조화방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농림부, 2002, 지역자원을 고려한 농촌경관평가모델 작성 및 계획기법 개발, 경희대학교.
  6. 민경우, 1997, 디자인의 이해, 서울: 미진사.
  7. 문은배, 2000, 안동하회마을의 경관색채 추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도양, 1987, 실용색채학, 이우출판사.
  9. 박돈서, 1998, 건축색채론, 미진사.
  10. 박필제 백숙자, 2001, 컬러 코디네이터를 위한 색채학 입문, 형설출판사, 124.
  11. 박효철(2002), 한국 전통 건축의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박효철 이현호(2003), 자연올 배경으로 하는 한국 전통 건축의 배색특성에 관한 연구-조선시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19(9), 79-89.
  13. 서주환 진승범, 1994, 경관색채학, 명보문화사.
  14. 서주환 최현상 이선화, 2000, 농촌경관계획 수립을 위한 계획과정의 설정, 서울: 디자인연구원.
  15. 이영, 2006, 환경색채 추출에 의한 농촌마을 지붕색채선정기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임승빈, 1998,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조동제, 2001, 색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문사.
  18. 정승혜, 2005, 색채이론에 근거한 공간과 오브제의 관계 연구-색채 대비와 조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정하우 김기성 도덕현 이남호 이정재 최수명 황한철, 1999, 농촌 계획학, 동명출판사.
  20. 최영훈 손계중 유대석, 2004, 색채의 원리와 활용, 미진사.
  21. 한국색채학회(2002), Colorist(이론편), 국제출판사.
  22. Antal Nemcsics(1993), Colour Dynamics : Environmental Colour Design, New York : Ellis Horwood.
  23. Krause & Langer(1999), The Alteration of Landscape over the centuries, Natural Reality, Stuttgart, 134-147.
  24. Kuehni, R. G. (1997), Color-An Introduction to Practice and Principles, John Wiley & Sons, Inc, 56.
  25. OECD(2001),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Agriculture, 42.
  26. http://cafe.naver.com/colorist1004.cafe('컬러리스트 세상속으로' 카페).
  27. http://www.koreacolor.net(문은배 색채연구소).
  28. http;//www.encyber.com(두산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