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Attitude in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청소년의 외모관리 태도가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Yoon, Su-Ik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Wee, Eun-Hah (Dept. Home Economics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윤수익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 ;
  • 위은하 (전남대학교 가정교육과,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09.10.23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help teachers guide lookism-prone students in their home and school life, and to guide them in the unit relating to clothing in school curriculums. To carry out this experimen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481 student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Gwangju city. The questionnaires are composed of 3 themes; 'general matters', 'attitudes about and recognition of appearance management' and 'school adapt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Component analysis(Varimax rotation) and Cronbach's ${\alpha}$, T-test, one-way ANOVA, Duncan-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14.0(K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ore they managed their behavior relating to appearance and cleanliness, the better they felt their friendships. 2. The less they concentrated management relating to appearance, the better they felt about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3. The less they concentrated management relating to appearance but the more they managed cleanliness the easier they adjusted to school rules. 4. The less they pursued a trendy appearance but the more they managed cleanliness, the better they studied.

본 연구는 중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외모에 대한 태도의 정도가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 학습 적응 정도, 그리고 교칙준수와 같은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함으로써 학교생활 지도와 가정 교과의 의생활 영역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광주광역시 남, 여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81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패키지 SPSS/PC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 통계,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Duncan-test, 신뢰도 분석(Cronbach's ${\alpha}$), 요인분석(Varimax 회전), Pearson의 상관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적응을 위해서는 청결관리를 강조하여 생활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교우 관계의 적응을 위해서는 친구들 사이에 유행하는 스타일 추구나 외모관리경험을 허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학교 규율 적응을 위해서는 외모불만을 조절하고 청결관리를 강조하며 학습적응을 위해서는 청결관리를 강조하되 최신 유행을 따르며 교복을 변형하는 등의 스타일추구를 제한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성적이 중하위권 이하인 여자 고등학생의 교사와의 관계, 학교규율 적응과 학습적응을 위해서는 스타일추구나 외모관리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