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the Long-Term Planning and Organizations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정책 분석 - 중장기 계획과 담당 조직을 중심으로 -

  • 장지숙 (교하도서관) ;
  • 송경진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진우 (교하도서관 정보서비스팀) ;
  • 차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0.05.05
  • Accepted : 2010.06.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local governments implement and enforce library policies for their regional libraries to provide benefits to their community resident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public library polices of regional governments in Korea with their long-term and annual plans. According to the results almost regional governments included plans for public libraries in their long-term plans, however, organizations exclusively responsible for libraries were very rare. Main components of the policy mostly related with establishing public libraries. In addition, creating and supporting a small library, a library of building workforce capacity planning librarians, library cooperation system, whether to target the entire city reading promotion policies were included in the policy.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 주민에게 다양한 측면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지방자치단체가 어떤 내용의 도서관 관련 정책을 갖고 있으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조직을 운영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중장기계획과 업무계획 및 지방자치단체의 도서관 정책 담당 조직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들이 도서관 관련 계획을 갖고 있으나 정책전담부서를 설치한 곳은 매우 드물었다. 도서관정책의 내용은 도서관 건립에 편중되어있었으며, 공공도서관 건립, 작은도서관 조성 및 지원, 도서관 건립에 따른 사서인력 확충 계획, 도서관 협력시스템구축 여부, 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독서 진흥시책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형기. 2007. 지방공무원의 정책형성능력 향상. 지방행정, 36-46.
  2. 남기범. 2006. 현대 정책학 강의. 파주: 한국학술정보.
  3. 서재호. 2008.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방자치단체 복지행정기구의 변화에 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2(2): 191-215.
  4. 유훈. 2007. 정책 집행론. 서울: 대영문화사.
  5. 윤희윤. 2002. 한국도서관․정보정책의 스펙트럼과 지향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3): 41-60.
  6. 윤희윤. 2004. 지방분권과 공공도서관의 향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4): 25-48.
  7. 윤희윤. 2007.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2): 31-54.
  8. 윤희윤. 2009. 공공도서관 행정체계 개편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5-28.
  9. 이명옥, 남태우. 2004.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정책에 관한 연구. 제11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25-132.
  10. 이재원, 조현양. 2005. 도서관정책 추진을 위한 행정체계 조직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4): 115-132.
  11. 이제환. 2008. 한국 도서관정보정책의 추이와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1-28.
  12. 정하용. 2006. 새 지방자치론. 서울: 백산출판사.
  13. ICMA. 2008. Local Government Managers and Public Libraries: Partners for a Better Community. Public Management, 90. [cited 2010.5.31]. .
  14. 광역자치단체 홈페이지.
  15. 기초자치단체 홈페이지.

Cited by

  1. 공공도서관 관련 자치법규 분석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vol.46, pp.2,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12.46.2.281
  2. 부산시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 및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vol.43, pp.4, 2010, https://doi.org/10.16981/kliss.43.4.201212.69
  3. 교육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vol.44, pp.3, 2010,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183
  4. 작은도서관에 관한 법제적 고찰 vol.48, pp.3, 2014, https://doi.org/10.4275/kslis.2014.48.3.381
  5. 국내외 독서진흥정책에 대한 평가와 개선에 관한 연구 vol.45, pp.3, 2014, https://doi.org/10.16981/kliss.45.3.201409.169
  6. 지방자치단체 도서관 행정조직의 분석적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vol.45, pp.3, 2010, https://doi.org/10.16981/kliss.45.3.201409.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