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 of Fire Service Budget and Police Service Budget

소방예산과 경찰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Received : 2010.04.26
  • Accepted : 2010.06.1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the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administration of which is not developed in comparison with any other administrative system, the systematic improvement is necessary. For system's more development, financial resource of fire service must be increased sufficiently. If fire service's budget is not allocated sufficiently, fire and disaster were not prevented effectively. This study set up hypothes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past research. In this study, dependent variables are fire service budget and police service budget per person Wherea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demand characteristics, economical characteristics,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previous fiscal year's budget. Statistical methods for the hypothesis's verification ar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The major finding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ignificant variable were past budget variable and economical variable. But political variable and demand variable were not significant except for a emergency medical variable. Second, fire service budget's averag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from police service budget's average. The above result are contingent upon the theory described in this research. A sustained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 will be necessary if substantial and meaningful progress is to be made in fire service budget.

다른 행정조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덜 발전된 재난관리분야는 체계적인 개선방안이 더 필요하다. 그런데 재난관리조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먼저 소방예산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 소방예산이 충분하게 편성되지 않으면 소방조직은 재난을 효과적으로 방어하지 못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인 근거와 과거연구를 바탕으로 소방예산에 관한 가설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국민 1인당 소방예산액과 경찰예산액이며 독립변수는 수요변수, 경제적 변수, 정치적 변수, 점증적 변수이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분석방법은 회귀분석, 상관분석, t검정이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귀분석결과 점증적인 변수와 경제적 변수가 예산결정에 유의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치적인 변수와 수요변수(구급변수 제외)는 예산결정에 유의적이지 못하였다. 둘째, 소방예산의 평균액은 경찰예산의 평균액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다. 위의 결과는 본 연구의 모형에 따른 결과이며 소방예산분야의 의미있는 결과도출을 위하여 앞으로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소방방재청, "소방행정자료 및 통계"(2009).
  2. 배득종, "공유재이론의 적용대상 확대", 한국행정학보, Vol.38, No.4, p.150(2004).
  3. 이준수, "재정학", 다산출판사, p.325(2006).
  4. 윤성채, "정부와 예산", 대영문화사, p.56(2001).
  5. 이호동, 문현철, 이종열, 위평량, "재난관리 법과 예산.기금구조", 대영문화사, p.165(2009).
  6. 이원희, "재난관련재정운영의 과제", 재난관리연구소 하계세미나(2007).
  7. 김진동, "소방예산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43-45(2008).
  8. 최진종, "한국의 소방력배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2001).
  9. 지병문, 김용철, "지방정부지출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제26집, pp.265-285 (2003).
  10. Sharkansky Ira, "Spending in American States, Chicago", pp.129-130, Rand McNally(1968).
  11. 강인재, "지방정부 공공지출의 결정요인과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1987).
  12. J. Danizigen, "Making Budgets: Public Resource Allocation", p.15, London: Sage(1978).
  13. 남궁근, "공공정책의 결정요인 분석에서의 방법론상 쟁점", 남궁근.노화준 외(공편) 공공 정책의 결정요인 분석, p.50(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