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xperiencing Sensibility Space in The Perception of Kineticism 'Movement'

키네티시즘의 '움직임' 지각을 통한 체험적 감성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준영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 윤재은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3.31
  • Accepted : 2010.05.07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Recently the trend that human emotions become central is strongly on the rise beyond functions in the area of space. In the present situation,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space of emotions through an approach to space appearing in kinetic art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new spatial expressions and forms of Kineticism lie in introduction of 'movement' as a phenomenon that humans who are main agents of experiences can perceive. For research methods, spatial expressions were proposed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extracting characteristics to create space through 'movement' of Kineticism, and the features of experiential space of emotion were elicited by analyzing sensible elements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which stimulate human sensitivity through expressive aspects of 'movement' appearing in the cas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haracteristics appeared including immersion through non-daily stimulation, empathy through visual·perceptual stimulation, syn-aesthetic experiences through stimulation of thinking senses, and perceptual activation through physical movement etc. Namely, the present study has its meanings in seeking another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as emotional space to activate experiencers' diverse perceptions and sens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emotional space through 'movement' of Kineticism which is one of modern plastic arts.

Keywords

References

  1. G.Rickey, 키네티시즘, 윤난지 역, 열화당, 1988
  2. Lionel Richard, 바우하우스, 주미숙 역, 열화당, 1997
  3. Rosalind Krauss, 현대조각의 흐름, 윤난지 역, 예경, 1997
  4. S. Giedion, 김경준 역, 시간 공간 건축, 시공문화사, 1998
  5. S.Giedion, 시각언어, 유한태 역, 대광서림, 1989
  6.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001
  7. 박창호 외 9명, 인지공학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7
  8. 승견승 외 지음, 현대 디자인 이론의 사상가들, 박대순 옮김, 미진사, 1996
  9. 윤난지, 키네티시즘과 현대사회, 미진사, 1989
  10. 이순요.양선모 공저, 감성공학, 청문각, 서울, 1996
  11. 정병관 외, 현대미술의 동향, 미진사, 1989
  12. 김경율.한지애, 김수근 건축의 감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7권 제1호(통권 제 51집), 2007
  13. 문정인.김수정.이상호, 깔라뜨라바 작품에 나타나는 키네틱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4호, 2006
  14. 이상배, 렘쿨하스 건축에서 나타난 공간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9권 제1호, 1999
  15. 이찬.최영재, 메를리-퐁티의 신체지각을 통한 감성 공간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7권 2호 통권67호, 2008
  16. 임혜선.김주연, 공간의 키네티시즘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0호, 2002
  17. 정은하.김개천, 디지털 미디어를 적용한 감성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8권 6호 통권 77호, 2009
  18. 고근호, Kinetic Art에 있어서 움직임에 관한 연구, 조선대 석논, 1998
  19. 김도식, 키네틱 아트와 현대건축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목원대 석론, 1999
  20. 이순표, Bodyscape 중 신체의 키네스테제를 활용한 대학로내의 공원 조성계획, 경기대 석론, 2001
  21. 채승아, 현대 실내건축에 나타난 역동적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 석론,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