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urvey Methods of Needs for Ubiquitous Home Services by Elderly Residents - Focused on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BS and WBS -

노인 거주자의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요구도 조사를 위한 방법론 연구 - 종이기반 조사와 웹기반조사의 효용성 검증을 중심으로-

  • 권오정 (건국대학교 건축대학 주거환경) ;
  • 이용민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주거환경) ;
  • 하해화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주거환경)
  • Received : 2010.04.21
  • Accepted : 2010.06.08
  • Published : 2010.06.25

Abstract

Recently, Web-based Survey has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per-based survey. This method is more effective in costs and time use than traditional methods, also help respondents to understand and interest in the survey. Especially for the elderly, web-based survey is effective survey tool, because audio-visual material could be prov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wo kinds of methods which were web-based survey and paper-based survey, focused on elderly residents' needs for ubiquitous home service. The participants were older than 60 and divided into 2 groups, web-based survey and paper-based survey, each group was controlled over by age, gender, computer skill. For this study, elderly residents conducted a survey passed through 2 steps, the first was residents' needs for ubiquitous home services, the second was an evaluation of survey methods. Finding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needs for ubiquitous home service, so survey itself can not make a difference in survey results. Second, respondents of web-based survey were more interested in and felt easier about method that they conducted than ones of paper-based survey. Finally, Web-based survey will be more effective method to be figure out the need of the elderly who are familiar with computer.

Keywords

References

  1. 권오정(2008), 디지털 홈 거주자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대한 거주 후 평가 사례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1), 17-28.
  2. 권현주.이연숙.이수진(2008), 행태기반 고령친화 디지털 홈 계획을 위한 웹인터페이스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0(1), 251-252.
  3. 김광용.김기수(1999), 설문지 유저-인터페이스 향상을 위한 개인화 웹 설문조사 시스템에 관한 연구, ITFIND 추계학술대회논문집, 2.
  4. 김민수.이연숙(2007), 고령친화 홈네트워크 서비스 개발을 위한 중장년층 소비자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7(2), 47-56.
  5. 김석태.오찬옥.박수빈.양세화(2004), 인터렉티브 미디어를 이용한 거주자 요구 조사방법에 관한 연구1,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5), 114.
  6. 대한주택공사(2008), 사회적 약자를 고려한 홈네트워크 주택유형 개발, 국토해양부, 125-283.
  7. 대한주택공사(2006), 국민임대주택단지의 디지털홈 구축방안 연구, 주택도시연구원, 116-243.
  8. 류혜지.이연숙(2008),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노인층의 선호 연구, 인포디자인이슈, 15, 71-84.
  9. 송창근(2004), WEB기반 온라인 설문조사 자동구축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29.
  10. 영남대학교(2002), 인터넷을 이용한 학생흡연예방과 금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web survey에 의한 프로그램 효과 평가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17-18.
  11. 오소연(2008), 라이프스타일 기반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홈계획요소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97.
  12. 오찬옥(2008), 노인을 위한 지능형 공간환경 연구 -주거공간의 디지털 시스템화를 위한 노인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7(5), 61-71.
  13. 이상원(2004), 온/오프라인 광고 및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조사 차이에 관한 실증 연구: 인터넷 설문과 전통적인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28.
  14. 이소영(2007), 노인을 위한 지능형 주택기술개발 특성 분석,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3(4), 15-23.
  15. 이정미(2005), 고령사회를 위한 네트워크 주거환경 계획요소 탐색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100.
  16. 주택도시연구원(2006), 국민임대주택단지의 디지털홈 구축 방안 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118-228.
  17. 최인영.장경미.이태경.전은정.박수빈.조성희(2004), 디지털홈 구성요소로서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 대한 거주자 요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6(6), 167-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