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멀티헤비테이션의 유형화 및 관련 주생활 라이프스타일 현황조사

A Classification of Multi-habitation and Site Survey of the Related Lifestyles

  • 최정민 (건국대학교 건축대학 주거환경) ;
  • 강진만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손혜미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0.02.11
  • 심사 : 2010.05.31
  • 발행 : 2010.06.25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ulti-habitation, a new phenomenon in which inhabitants in urban areas reside in primarily condominiums on weekdays and retreat to dwellings in rural areas on weekends, and to examine the various life styles related to multi-habitation. Through the interviews and site surveys, three major subtypes of multi-habitation were identified to support the theoretical framework: interchange style, sedentary style, and special style. Findings include that first, in order to discuss multi-habitation, the terms primary home and secondary home are introduced. Based on the concept of primary home and secondary home, a variety of multi-habitation can be described using spatial locations in urban and rural areas. Second, systematic deregulation for the second home ownership should be made to promote citizens' interchange. Also urban residents should make more efforts to integrate into rural communities. Third, for some remote areas such as Cheju Island, it is observed that multi-habitation is limited by cost, time, and lifestyl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평년(2005), 도시민의 농촌관광지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18(3), 3-21.
  2. 김재호(2007), 그린 투어리즘에서 전통문화 체험프로그램과 민속의 활용, 한국민속학, 46, 7-42.
  3. 김주원(2003), 인센티브형 상향식 농촌개발전략사업의 문제와 개선방안, 국토계획, 38(4), 103-121.
  4. 문혁.조리라.가종순(2007), 국내 펜션의 현황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 조형연구소논문집, 7(2), 149-183.
  5. 박덕병.이민수(2006), 농촌관광마을 농가민박 편의시설소바자 선호, 농촌관광연구, 13(2), 41-62.
  6. 박시현.박주영.성주인(2003), 농가숙박업의 제도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농업연구, 10(1), 45-60.
  7. 송광인외(2005) 체험관광을 통한 지역관광활성화에 관한연구, 농촌관광연구 12(2), 1-31.
  8. 송미령.임경수.전호상(2006), 귀농.귀촌 이야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송화성.박석희(2006), 라이프스타일이 농촌어메니티자원 선호 및 농촌관광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농촌관광연구,13(2), 85-106.
  10. 오동훈.박선영.이재순(2003), 우리나라 펜션하우징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5), 139-151.
  11. 이샘.신해식.모영문.신효중(2009), 녹색농촌체험마을 방문객 성향과 선호도 분석, 농촌관광연구, 16(1), 75-102.
  12. 이창석.이희국(2003), 고급민박주택의 주환경에 관한 연구-경기지역의 펜션을 중심으로, 부동산학보, 21, 16-42.
  13. 최정민.양재섭.김창기(2006),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운영실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도쿄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7(3), 31-50.
  14. 최정민(2010) 멀티헤비테이션의 발전 가능성 및 수요특성 분석, 한국주거학회, 21(1), 89-101.
  15. 최효승(2005), 농촌마을만들기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충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7(1), 39-50.
  16. 허지현.최현식.최영민(2008), 관광자의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른 농촌체험관광형태별 선호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20(3), 87-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