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munity Shared Space Desired by Apartment Residents for Super High Rise Apartment

초고층아파트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아파트 거주자 의식연구

  • 김다해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이연숙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안창헌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Received : 2010.01.20
  • Accepted : 2010.05.28
  • Published : 2010.06.25

Abstract

High rise apartments and super high rise apartments have recently been widely and rapidly disseminated throughout Korea in a very productively efficient way. Within this process, strategies to enhance communal culture have been abs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quirements for community shared spaces for super high rise apartments as expressed by apartment resident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a web survey was utilized. The respondents were 247 apartment resi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 substantial number of residents desired social interaction. This implies the necessity for the promotion of shared spaces. In terms of the possible preferred locations of most possible shared spaces, including sports related space, childcare space, educational space, elderly space, residents' gathering space, and administration space, the lobby proved to be the most popular. Other diverse locations, however, also seemed promising. In conclusion, the residents' desires indicated possibilities of a vertical community culture due to the diverse desires for community spaces. This can be used as evidence to facilitate the vertical community of super high rise apartm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중구.권순정.제해성(2002), 아파트단지내 근린생활시설의 배치유형별 사용자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1), 209-216.
  2. 강혜정(2004),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 디자인을 위한 거주자 행태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7(1), 69-80.
  3. 국토해양부(2008), 지적통계연보자료.
  4. 공동주택연구회(2000), 한국공동주택 16제, 토문.
  5. 김광현.신승수.이병연.박지호.최교식(2000), 현대 주거에 나타나는 사성과 공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1), 179-286.
  6. 김대현.임승빈(1995), 초고층아파트 주민 주거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0(1), 313-324.
  7. 김우성(2005),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공용 시설의 계획적 측면에 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밀레니엄커뮤니티 센터 연구회(2000), 미래주택과 공유공간, 연세대학교출판부.
  9. 박영기.김혜정.강인호(2005), 초고층 주거 건축의 거주후 평가모델 개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11), 137-146.
  10. 박철수.이유미.김홍규(1994), 초고층아파트 거주실태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2), 3-12.
  11. 손세욱.최찬환(1992), 집합주거에 있어서 근린영역과 근린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5), 103-113.
  12. 신동혁.이재혁.제해성(2008), 초고층 주상복합 공용시설의 활용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67-78.
  13. 신병윤.김광현(2009), 개인주거공간의 프라이버시와 공적 공간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7), 37-48.
  14. 신연섭.연태경.이연숙(2006), 아파트 부대복리공간에 대한 거주자 의식 및 사용실태 조사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5(1), 166-174.
  15. 여영호.홍근표(2003), 신공간 개념을 통한 초고층과 전망, KSTBF.
  16. 윤영선(1990),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주거내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자녀교육기 및 자녀성년기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연숙(1995), 미래주택과 공유공간, 경춘사.
  18. 이연숙(1998), 실내환경 심리행태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19. 이연숙(2003), 한국인의 삶과 미래주택, 연세대학교 출판부.
  20. 이정수(1997), 초고층 복합용도 건축물의 형태구성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5), 37-44.
  21. 이정아.이은희(1995), 초고층아파트 중간영역으로서 커뮤니티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5), 99-114.
  22. 장한두.이규인.제해성(2003), 공동주택 최상층과 지상1층 차별화계획의 효과 및 개선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10), 51-59.
  23. 장림종.박진희(2009), 대한민국 아파트 발굴사, 효형출판
  24. 전상인(2009), 아파트에 미치다, 이숲.
  25. 전명화.이현주.정상선.박영기.김청권.류종형.한연호.허영주(2005), 초고층 주거건물 내 공용공간의 특성 및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12), 173-182.
  26. 정성운.이재혁.제해성(2006), 지속가능한 초고층 공동주택 주거환경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6(1), 249-253.
  27. 정성운.이재혁.제해성(2007), 건축실무자 조사를 통한 초고층 공동주택 주거환경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1), 11-18.
  28. 제해성(1989), 고밀도 집합주거에 관한 법규 및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지, 33(5), 24-28.
  29. 제해성.이재혁.홍수진(2006), 초고층 공동주택의 삶의 질에 근거한 주거환경지표 체계화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8), 89-96.
  30. 조성희.박지혜(2009), 아파트 거주가구의 프라이버시 조절 모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5(7), 127-138.
  31. 조종수(2004), 시대변화에 따른 서울지역 고층집합주거계획의 비교평가,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0), 50-58.
  32. 최재필.강범준.박영섭.이윤재(2005), 초고층 건축물의 '대피층' 및 '대피 공간' 개념 도입 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11), 147-154.
  33. 한용태.강부성.김진욱(2005), 고층과 초고층아파트의 구매특성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1(11), 155-162.
  34. 통계청(2008), 시도별 장래인구추계.
  35. Altman Irwin (1979), The Environment and Social Behavior. The University of Utah.
  36. CTBUH (2009), A Tall Building Review. CTBUH Journal 2010 Issue I. www.ctbuh.org/Home/tabid/53/language/en-GB/Default.aspx
  37. Bonk, C. J., Wisher, R., & Nigrelli, M. (2004), http://www.wikipedia. org Chapter 12.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practices: principles, technologies and examples in Littlton, Karen, Learning to Collaborate. Nova. USA.

Cited by

  1. Housing Alternatives to Promote Holistic Health of the Fragile Aged vol.21, pp.1, 2012, https://doi.org/10.1177/1420326X114193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