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sibility of Tectonic Elements Database for Korean Traditional Wood Structure

한국식 목가구조 구축요소 데이터베이스의 가능성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Keywords

References

  1. 문화재청, 귀신사 대적광전 실측/수리보고서, 대연건축사사무소, 2006. 09
  2. 경주시, 기림사 대적광전 실측/수리보고서, 우리건축사사무소, 1997.12
  3. 문화재청, 논산 쌍계사 대웅전 실측보고서, 금성건축사 사무소, 1999.12
  4. 문화재청, 무위사 극락전 실측보고서(상,하), 다담건축사사무소, 2004.06
  5. 문화재청, 안동 봉정사 극락전 실측/수리보고서, 일진건축사사무소, 2003.08
  6. 안동시, 안동 봉정사 대웅전 신측/수리보고서, 정우건축사사무소, 2004.1
  7. 국토해양부, 한옥건축 산업화를 위한 기반구축연구2:한옥건축 산업화 촉진을 위한 기술기반 구축기획 연구, 2008, 국토해양부
  8. 정연상, 조선시대 목고건축의 맞춤과 이음방법에 관한 연구:기둥과 보 및 도리부분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대학원 박론, 2006
  9. 김찬영, 조선후기 다포 불전의 비례체계에 관한 연구, 영남대 대학원 박론, 2003
  10. 이연노, 한국전통목조건축의 보에 관한 연구:공포와 지붕틀과의 결구를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박론, 2002
  11. 김봉건, 전통 중층목조건축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론, 1994
  12. 배병선, 多包系맞배집에 關한 研究, 서울대 대학원 박론, 1993
  13. 전봉희, 신한옥 보급 활성화를 위한 한옥아카이브의 구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53권 제9호, 2009. 9,pp. 62-66
  14. 전홍필, 이상호, 임채진, 아카이브의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10호, 2008.10, pp.105-112
  15. 전봉희, 우동선, 이우종, 한국의 건축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제3호 2004.03,pp.99-108
  16. 양재영, 주남철, 朝鮮時代 多包建築의 出目과 도리 配置에 關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9권 제10호, 2003.10, pp.129-136
  17. 배병선, 우리나라 木造建築의 架構形式과 結構法, 建築, 167호, 1992.07, pp.7-19
  18. 임채진, 現代木造建築 小考 : 木造建築의 現代的 展開와 課題, 建築, 167호, 199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