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Practice in Math & Science Classes Found by Clinical Interview with Focus Groups of North Korean Students Who Live in South Korea

탈북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포커스 그룹들과 면담을 통한 교육의 실제 - 수학.과학을 중심으로 -

  • ChoiKho, Sang-Sook (Dep. of Mathematic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
  • Shin, Dong-Hee (Dep. of Science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Ae-Hwa (Dep. of Special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 Received : 2010.01.21
  • Accepted : 2010.05.07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is study was to find the perception of mathematical & scientific learning of North Korean students who lived in Korea.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three groups as the focus group for clinical interview, consisting of North Korean students, their teaches and their pare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narrative description of qualitative method, North Korean students experienced the gap between what they had learned and what they learned in Korea, due to visiting the 3rd country before they came to Korea. So they were in need of well developed instructional instruments based on a precise diagnosis of language ability to help them get over their difficulties. Second, they have difficulties in math & science classes due to differences between curricular and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ays of expression of terminologies used in two countries. They expressed that the group work in learning and a great deal of number of problems could be helpful for their needs. Third, the community-service center should be operated in a systematic way to compensate their lack of getting a private education. Fourth, they thought that the supplemental materials should provide some sources that might help them to get over the language barrier and difficulties from the differences, because they depended on them.

Keywords

References

  1. 권치순․박진원 (1995). 한국과 북한의 자연 교과서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14(2), pp.191-226.
  2. 김경미 (2002).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기덕 (2003). 인식론의 기초이론과 쟁점들,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4. 김보영 (2009). 새터민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교육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연희 (2005).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과정이론의 적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종국 (2007). 탈북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문화 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현아 (2006). 새터민의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박창균 (2002). 남․북한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선옥 (2007). 중등 수학 용어의 이해와 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수정 (2005). 새터민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반차별․반억압 관점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수정 (2007). 탈북아동과 청소년' 세미나. 월민시민문화 연구소와 한국시민문화학회 공동주최 'http://www.amen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078
  12. 임민순 (1998).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능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한국통일 연구, 4. 대전광역시: 충남대학교.
  13. 임재훈․이경화․박경미 (2003). 남북한 수학교과서 영역별 분석 및 표준 수학교육과정안 개발 연구(II): 남북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구성과 전개방법 비교. 학교수학, 5(1), pp.43-58.
  14. 엄경남 (2001). 탈북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우정호․박문환. (2002).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교육의 통합 방안 모색, 수학교육학연구, 12(1), pp.49-70.
  16. 유시규․안순주 (2005). 남북한 수학교육과정 비교분석:국민공통기본과정 9-가, 9-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 16, pp.43-83.
  17. 윤창선 (2003).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남북한 교과서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과서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장주영 (2009).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과 학습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 장창호 (2000). 탈북청소년의 적응에 관한 사회사업적 고찰.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전우택․윤덕룡(2004).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들의 신체 및 정신건강이 경제적 탈북자의 경제적 자립성과 신체적 건강에 관한 연구. 서울: 통일부.
  21. 전익수 (2001). 탈북청소년 초기정착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정인수 (2006) 새터민 청소년 적응교육에 관한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경자 (2008). 새터민 학생의 학습 적응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통일부 (2008). 통일백서. 서울: 통일부.
  25. 한만길 (1997). 통일시대 북한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26. 홍덕기 (2001). 탈북귀순 청소년의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학교 및 사회생활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홍명옥 (2000). 남북한의 초등 교육제도와 교육과정 비교 연구. 인천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Hudson, P., Miller. S. P., & Butler, F. (2006). Adapting and merging explicit instruction within reform based mathematical classrooms. American Secondary Education, 35(1), pp.19-32.
  29. Merriam, S. B. (1998).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 강윤수, 고상숙, 권오남, 류희찬, 박만구외 공역(2005). 서울: 교우사.
  3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1991). Professional Standards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2.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류희찬․조완영․이경화․나귀수․김남균․방정숙 공역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서울: 경문사.
  33. Stake, R. E. (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 Inc. 홍용희․노경주․심종희 역(2000). 질적 사례 연구. 서울: 도서출판 창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