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and Domestic C.Z.M Cases

국내외 연안구역관리(C.Z.M)의 특성 비교

  • Oh, Ji-Hoon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 Lee, Seok-Hwan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Received : 2010.05.27
  • Accepted : 2010.07.06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Coastal Zone is a integrated space including both coastal waters and inland. C.Z.M is a strategic practice system which can integrate and coordinate the coastal zone for preserving and making use of coastal resources. Through foreign and domestic C.Z.M Cases,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ting mechanism in the three aspects: role sharing among the administrative agencies, media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 interested parties, and inducements of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t achieve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C.Z.M: building the assessment system for establishing desirable policy directions, the stable support system for sustainable coastal management, the mediation system for cooperation of stakeholder, and the education system for reinforcing the management ability and inducing the voluntary participation. Finally it suggests the implications to build the coastal zone management system properly on the basis of common values in this mechanism.

연안구역(Coastal Zone)은 “생태 환경적으로 통합된 장”으로 해역과 육역을 포함하는 통합된 공간이며 C.Z.M은 해안자원의 보전과 활용을 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연안구역(Coastal Zone)을 통합 조정할 수 있는 실행 전략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외 C.Z.M을 사례로 운영과정에서 나타나는 메커니즘을 역할분담, 조정 및 협력, 참여 유도 차원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해안관리의 정책방향이 조화될 수 있도록 하는 평가체계 구축, 지속적 해안관리를 위한 안정적 지원체계 구축, 이해관계자의 협력을 도모하는 조정체계 구축, 관리역량 강화 및 참여유도를 위한 교육체계 구축 등을 선진사례의 공통된 관리특성으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국내외 연안구역관리의 메카니즘에 나타난 공통의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차원에서 국내 연안구역(Coastal Zone)관리시스템을 올바르게 구축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채우석, "환경보전을 위한 연안관리에 관한 법제적 연구", 한국토지공법학회, Vol. 43, p793-808, 2009
  2. 박창석.노백호.정재현, "국토 연안 생태네트워크 구축과 계획적 관리 방안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p 158-164, 2008.
  3. 해양수산부, "연안관리 제도개선 연구 : 최종보고서", p39-49, 2007.
  4. 최지연, "외국 연안관리 지표의 비교.분석과 적용시사점", 해양수산 통권275호, p.5-27, 2007.
  5. 최지연, "주요 국가의 연안관리제도 사례분석과 적용 시사점", 해양수산 통권250호, p.79-104, 2005.
  6. 구자훈.문장원. "연안통합관리정책의 일관성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Vol. 14, pp. 53-78. 2005.
  7. 윤성순.최지연.주성재, "연안관리지역계획의 실효성 제고 및 계획수립(안)개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8. 윤성순, "연안관리계획의 실효성 제고 방안", 월간해양수산 통권 225호, pp. 38-50. 2003.
  9. 엄기철.황성수, "지속가능한 연안관리모형 및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01.
  10. 조동오, "미국 연방정부의 연안통합관리제도",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 7, p. 41-49, 2001.
  11. 안건상, "연안통합관리의 선진사례 연구", 광주.전남 발전연구원, 광주.전남 비전21, p57-60, 2000.
  12. 해양수산부, "연안역 통합관리체제구축을 위한 조사 연구 용역", p533, 1998.
  13. Ehler, N., "The Evolution of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Lessons Learned and Next Steps", 해양수산부-미해양대기청 연안통합관리 워크숍 자료집, 2002.
  14. Hale, Z. L, Ronadue, D. D, "International Experience in Integrated Coastal Resource Management", The Fiji National Workshop on Integrated Coastal Resources Management, 2002.
  15. Stojanovic, T., Ballinger, R. C., Lalwani, C.S., "Successful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measuring it with research and contributing to wise practice", Ocean and Coastal Management 47 : 273-298, 2004. https://doi.org/10.1016/j.ocecoaman.2004.08.001
  16. http://coastalmanagement.noaa.gov/
  17. http://www.epa.gov/owow/estuaries/
  18. http://www.environment.gov.au/coasts/
  19. http://www.mlit.go.jp/river/kaigan/index.html
  20. http://www.mlit.go.jp/kowan/coast/index.htm
  21. http://www.mlit.go.jp/sogoseisaku/ocean_policy/
  22. http://www.coa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