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Estimation and Application of the Fwl-D-F curves for Urban Basins

도시유역의 Fwl-D-F 곡선 산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최현일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김응석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10.05.04
  • Accepted : 2010.07.06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There have been performed many researched for flood magnitude analysis, for example, the Flood-Duration-Frequency relations in the west. Because flood water stage data are more available rather than flood amount data at flood gauge stations of Korea, this study developed Flood water level-Duration-Frequency (Fwl-D-F) curves using rainfall Intensity-Duration-Frequency(I-D-F) curves for the quantitative flood risk assessment in urban watersheds. Fwl-D-F curve is made from water level data for 18 years at Joongrayng bridge station of Joongrayng River basin in Han River drainage area. Fwl-D-F curve can estimate the occurrence frequency for a certain flood elevation, which can be used for urban flood forecasting. It is expected that the flood elevation can be estimated from the forecasted rainfall data using both Fwl-D-F and I-D-F curves.

과거 홍수량 분석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홍수량-지속시간-빈도곡선(flood-duration-frequency curves)의 연구가 국외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국내의 수문자료는 하천의 특정지점에서 홍수량 자료 보다는 수위자료를 쉽게 수집 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홍수에 따른 홍수위험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의 강우강도-지속시간-빈도곡선(Ind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을 응용한 홍수위-지속시간-빈도곡선(flood water level-duration-frequency curves: Fwl-D-F)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지역은 한강수계 중량천의 중량교 지점으로 18년간의 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Fwl-D-F곡선을 산정하였다. 홍수위에 대한 지속기간별 빈도곡선인 Fwl-D-F 곡선은 특정한 홍수위에 따른 값을 빈도개념으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내수침수를 포함한 홍수예보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특정 호우사상에 대한 강우량이 예측되면 작성된 강우강도-지속시간-빈도곡선(I-D-F곡선)과 Fwl-D-F곡선을 연계하여 임의 관측지점의 수위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방재연구소, 지리산 일원 호우피해조사 및 분석. 현장보고서. NIDP-98-01, 1998.
  2. 김광섭, 한건연, 최규현, "한강 인도교 지점에서의 홍수량-지속기간-빈도 분석" 대한토목학회 200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1986-1989, 2007.
  3. 김운태, 배덕효, 조천호, "돌발홍수예보를 위한 미소유역의 한계유출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5호, pp. 553-561, 2002. https://doi.org/10.3741/JKWRA.2002.35.5.553
  4. 김응석, 최현일, 이동의, 강동진, "돌발홍수지수를 이용한 돌발홍수심도 산정"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6호, pp. 125-132, 2009.
  5. 김진훈, 배덕효, "한강유역 한계유출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2호, pp.151-160, 2006. https://doi.org/10.3741/JKWRA.2006.39.2.151
  6. 배덕효, 김진훈, "한국형 돌발홍수 예경보시스템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7권, 제3B호, pp. 237-243, 2007.
  7. 신현석, 김홍태, 박무종, "GIS와 GcIUH를 이용한 돌발홍수기준우량 산정의 타당성 검토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5호, pp. 407-424, 2004.
  8. Javlle, P. Ouarda T.B.M.J., Lnag, M., Bobee, B. Galea, G. and Gresillon, J.M., "Development of regional flood-duration-frequency curves based on the index-flood method. J. of Hydrology, Vol. 258, pp. 249-259, 2002. https://doi.org/10.1016/S0022-1694(01)00577-7
  9. Javlle, P. Gresillon, J.M. and Galea, G. " Discharge-duration-frequency curve modeling for floods and scale invariance. Comptes Rendus de l' Academie des Secience, Science de la terre et des planetes, Vol 329, pp. 39-44, 1999.
  10. Galea, G. Prudhomme, C. "Notions de base et concepts utiles pour la comprehension de la modelisation synthetique des regimes de cure des assins versants au sens des models Qdf. Revue des Sciences del l' Eau l, pp. 83-101, 1997.
  11. Singh, V. P., Aminian, H. "An empirical relation between volume and peak of direct runoff", J. of water Res. Bull. Vol. 22, No. 5, pp. 725-730, 1986. https://doi.org/10.1111/j.1752-1688.1986.tb00745.x
  12. Sweeney, T.L. (1992) Modernized Areal Flash Flood Guidance. NOAA Technical Memorandum NWS HYDRO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