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 지역 여성의 결혼 전 건강검진에 대한 인지, 의도 및 이행정도

A Study on Recognition, Intention and Compliance to Premarital Examination of Women

  • 김철훈 (동아대학교 의료원 의과대학) ;
  • 신유정 (부산시 연제구 보건소) ;
  •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 투고 : 2010.06.08
  • 심사 : 2010.07.06
  • 발행 : 2010.07.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 여성의 결혼 전 건강검진에 대한 인지, 의도, 이행정도를 파악하고, 미혼여성의 검진의도 및 기혼여성의 검진이행을 예측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로 총 257명의 연구대상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결혼 전 건강검진에 대한 인지(인식,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인식), 의도, 이행정도를 묻는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x^2$-test, t-test, 다중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혼 전 건강검진을 수행한 정도를 살펴본 결과 28.4%의 기혼여성이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고, 35%의 미혼여성과 71.6%의 기혼 여성이 결혼전 건강검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전 건강검진에 대한 태도는 미혼과 기혼여성에게서 각각 23.04점, 22.55점(t=1.39, p=.16), 주관적 규범은 각각 14.49점과 14.46점 (t=.13, p=.90)으로 미혼여성이 기혼여성에 비해 긍정적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행동통제인식에서는 미혼여성이 15.46점, 기혼여성이 16.79점(t=5.32, p<.001)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혼여성의 검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검진의 필요성(OR=14.186, t=.001)이었고, 기혼여성의 검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검진에 대해 들은 경험(OR=7.765, p=.012)과 행동통제인식(OR=1.423, p=.025)이었다. 이 결과는 여성의 결혼 전 건강검진의 의도 및 실천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검진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강화, 행동통제인식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해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recognition, intention and practice to premarital examination of women and to define the predictors of intention and compliance to examina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57 women at a university, college, a bank worker and health clinic visitor in Busan city. The date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ugust 25th to September 24th 2006 by structured questionaries, and were analyzed mean, standard deviations(SD), $x^2$-test,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WIN 12.0. The mean performance of the premarital examination was 28.4%. Thirty-five point five percent of unmarried women and 71.6 percent of married women had experience of heard premarital examination. The score of attitude toward premarital examination were that single women was 23.04 and married women was 22.55, respectively. The scores of behavioral control cognition between unmarried women and married wome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t. The predictor of premarital examination intention was necessity of premarital examination, and the predictors of examination compliance were experience of hearing examination and behavioral control cogn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moting recognition and behavioral control cognition by community healthcare organization and health professionals for empowering the premarital examination of women wer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T. Hesketh, "Getting Married in China: Pass the Medical First", BMJ, 326(7383); 277-279, 2003. https://doi.org/10.1136/bmj.326.7383.277
  2. A. N. Al-Odaib, K. K. Abu-Amero, P. T. Ozand, & A. M. Al-Hellani, "A New Era for Preventive Genetic Programs in the Arabian Peninsula", Saudi Med J, 24(11); 1168-1175, 2003.
  3. M. A. El-Hazmi, "The Natural History and the National Pre-Marital Screening Program in Saudi Arabia", Saudi Med J, 25(11); 1549-1554, 2004.
  4. N. Abdel-Meguid, M.S. Zaki, S. A. Hammad, "Premarital Genetic Investigations: Effect of Genetic Counselling", East Mediterr Health J, 6(4); 652-660, 2000.
  5.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전염병의 역학과 관리", 207-217, 2006.
  6. M. K. Serdula, J. S. Mark, P. L. Remington, C. M. Ibara, & M. C. White, "Premarital Rubella Screening Program: From Identification to Vaccination of Susceptible Women in the State of Hawaii", Publc Health Rep, 101(3), 329-333, 1986.
  7. 정재영, "결혼 전 건강진단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조사", 건강교육, 제 1권 13호, 143-154, 1980.
  8. 이건세, "계획된 행동 이론을 이용한 자궁암 조기검진의 예측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9. M. A. Albar, "Counselling about Genetic Disease: An Islamic Perspective", East Mediterr Health, 5(6); 1129-1133, 1999.
  10. F. Neal-Cooper, & R. B. Scott, "Genetic Counseling in Sickle Cell Anemia: Experiences with Couples at Risk", Public Health Rep, 103(2); 174-178, 1988.
  11. K. T. Sullivan, L. A. Rasch, T. Cornelius, & E. Cirigliano, "Predicting Participation in Premarital Prevention Programs: The Health Belief Model and Social Norms", Family Process, 43(2); 175-193, 2004.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4.04302004.x
  12. F. M. Alswaidi, S. J. O'Brien, "Premarital Screening Programmes for Haemoglobinopathies, HIV and hepatitis viruses: Reveiw and factors affecting their success", J Med Screen, 16(1), 22-28, 2009 https://doi.org/10.1258/jms.2008.008029
  13. A. Al Sulaiman, M. Saeedi, A. Al Suliman, T. Owaidah, "Postmarital follow-up survey on high risk patients subjected to premarital screening program in Saudi Arabia, Preg Diagn, 30(5), 478-481, 2010.
  14. M. S. Fallah, A. Samavat, S. Zeinali, "Iranian National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Thalassemia and Prenatal Diagnosis: Mandatory premarital screening and legal medical abortion", Pregnat Diagn, 29(13), 1285-1286, 2009. https://doi.org/10.1002/pd.2373
  15. B. J. Turnock, & C. J. Kelly, "Mandatory Premarital Testing for Human Immunodefiency virus, The Illinois Experience", JAMA, 261(23); 3456-3458, 1989. https://doi.org/10.1001/jama.261.23.3456
  16. A. S. Lipton, "The Feasibility of Premarital Genetic Screening Laws", Health Matrix, 5(4); 16-22, 1987.
  17. R. Altman, S. I. Shahied, W. Pizzuti, D. N. Brandon, L. Anderson, & C. Freund, "Premarital HIV-1 Testing in New Jersey", J Acquir Immune Defic Syndr, 5(1); 7-11, 1992.
  18. 유호신, 김금이, 김미한, 김영희, 김윤신, 김정선, 김진희, 김희경, 백명, 석민현, 양숙자, 양승희, 염순교, 유명숙, 윤숙례, 이미애, 이주영, 채선옥, 황라일, 간호사를 위한 보건의료관계법규, 수문사, 2009.
  19. 보건복지부, 2005년도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시책 사례집. 33-134, 2005.
  20. 김영임, "유방자가검진에 관한 관련요인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 14권 3호, 496-506, 2003.
  21. 안기주, "출산여성의 태교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2. A. Al, Sulaiman, A. Suliman, M. Al Mishari, A. Al Sawadi, & T. M. Owaidah,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Hemoglobinopathies Premarital Screening Program in Saudi Arabia: Population-based survey", Hemoglobin, 32(6), 531-538, 2008. https://doi.org/10.1080/03630260802508384
  23. V. S. Conn, "Older Women's Beliefs about Physical Activity", Public Health Nurs, 20(2); 153-163, 1998.
  24. 백명, "유방자가검진이행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5. 김혜숙, 남은숙,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모유수유 의지 및 행위의 예측요인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 27권 4호, 796-806, 1997.
  26. D. E. Schifter, & I. Ajzen, "Intention, Perceived Control, and Weight Los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 Pers Soc Psychol, 49(3); 843-851, 1985. https://doi.org/10.1037/0022-3514.49.3.843
  27. 이종경, "중년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이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 14권 4호, 1-10,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