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to the Acquisition of Honorific Markers by Three-, Four-, and Five-year-old Young Children

만 3.4.5세 유아의 존댓말 습득에 관한 연구

  • 박진이 (성남 하원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
  • 김민진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1.11
  • Published : 201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young children's acquisition of honorific expressions. The participants of the present study were 297 young children (ages 3-5 years) from Kyu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young children acquire honorific markers in the order of hearer-honorific expressions, subject-honorific expressions, and then object-honorific expressions. Five-year old children acquired at least 75% of the hearer-honorific expressions. The result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most of them were used in greetings. Even though more than 90% of five-year old children acquired the subject-honorific marker si, the acquisition rates of subjecthonorific nouns and subject-honorific verbs were less than 10%. Finally, the acquisition rates of objecthonorific expressions were less than 20%, with the exception of the object-honorific noun c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acquisition of honorific markers in young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7).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I, II, III.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2007). 유치원 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3. 김명순.강옥경.임양미(2008). 유아의 존댓말 사용과 어머니의 인식 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8(5), 273-293.
  4. 김봉국(2009). 2009년도 강원 지역어 조사 보고서. 서울: 국립국어원.
  5. 김세원(2009). 초등학생 높임법 사용 실태 분석을 통한 지도 방안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영주(1994). 높임말 사용의 지도. 초등국어교육, 4, 27-50.
  7. 김우진(2006). 중국 카작족 존댓말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비교문화연구, 12(2), 5-56.
  8. 김정신.정해은.조희진(2004). 유아예절교육. 서울: 교문사.
  9. 김진희(2001). 초등학교 아동의 대우법 지도 방안 연구. 초등국어교육, 11, 103-130.
  10. 문향숙(2005). 아동의 언어 예절에 관한 연구. 어문논집, 33, 5-30.
  11. 박덕유(2006). 학교문법론의 이해. 서울: 도서출판 역락.
  12. 박상수(1994). 한국어 존대법의 형태점검. 현대문법연구, 4(1), 115-139.
  13. 박찬옥(1994). 유치원 도덕교육의 방향모색. 유아교육연구, 14(1), 51-73.
  14. 이귀옥(1997). 유아의 언어적 특징과 교수법 : 존대법 습득 현황 조사. 언어연구, 1, 23-36.
  15. 이미령(1995). 유아예절교육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순형(2001). 한국 아동이 초기에 획득한 문법적 형태소의 종류 및 획득 시기. 아동학회지, 21(4), 1-18.
  17. 이영자(2009). 유아 언어발달과 지도(개정판). 서울: 양서원.
  18. 이은화.김영옥(2008). 유아 사회 교육. 서울: 양서원.
  19. 이행숙(2000). 어린이집 교사가 인지한 예절교육필요도에 대한 연구. 한국여성교양학회지, 7, 59-79.
  20. 임홍빈.안명천.장소원.이은경(2007). 바른 국어생활과 문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1. 조명한(1988). 한국아동의 언어획득연구 : 책략모형.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2. 조은주.최일선(2008).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생활지도. 서울: 창지사.
  23. 주영애.이영애(1999). 부모와 교사를 위한 유아의 생활예절. 서울: 양서원.
  24. 주영희(2001). 유아 언어 발달과 교육. 서울: 교문사.
  25. Brown, R., & Ford, M. (1961). Address in American English.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2(1), 375-385.
  26. Ervin-Tripp, S. (1972). On sociolinguistic rules: Alternation and co-occurrence, In J. Gumperz and D. Hyems (Eds.), Directions in sociolinguistics (pp. 213-250).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on.
  27. Geertz, C. (1976). The Religion of Java, Chicago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Hymes, D. (1971). Sociolinguistics and the ethnography of speaking. In E. Ardener (Ed.), Social Anthropology and Language (pp. 47-94). London : Routledge.
  29. Ide, S. (1982). Japanese Sociolinguistics : Politeness and Women's language. Lingua, 57, 357-385. https://doi.org/10.1016/0024-3841(82)90009-2
  30. Kim, Y. J. (1997). The acquisition of Korea. In D. Slobin (Ed.), The cross-linguistic study of language acquisition : Vol. 4. (pp. 335-443).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1. Lee, C. (1993). The acquisition of mood indicators in Korean. In S. Kuno, J. Whitman, Y.-S. Kang, I.-H. Lee, J. Maling, & Y. Kim (Eds.),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 Vol. 5 (pp. 41-61). Seoul : Hanshin.
  32. Slobin, O. I. (1973). Cognitive prerequisites for the development of grammar. In C. A. Perguson & D. I. Slobin (Eds.), Studies of child language development (pp. 175-208). New York : Holt, Rinehart & Winston.
  33. Slobin, D. I. (1985). The crosslinguistic evidence for the language making capacity. In D. J. Slobin (Ed.), The crosslinguistic study of language acquisition : Vol. 2. Theoretical issues (pp. 1157-1256).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