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liminary Study on the Supporting Strategies for Caring and Teaching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 가정 유아 보육의 지원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적 연구

  • Hyun, Jung-Hwan (Department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현정환 (서울신학대학교 보육학과)
  • Received : 2009.10.31
  • Accepted : 2010.01.07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strategies that support multi-cultural children' development and adaptation in day 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61 young children, 49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550 Korean young children. The instruments utilized were the Sukemune-Hiew Resilience Test for parents and the Danaka Deveopment Test for children. The statistical instruments used were the t-test and the Pearson product correlation coefficients. Our results indicated that : (1) In the case five or six years ol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anguage development lagged behind that of Korean children. (2) Social support systems were insufficient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Our cnclusions suggest that establishing strategies is necessary for not only supporting the lingu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ut strategies aimed at supporting their parents in day care centers need to be developed.

Keywords

References

  1. 구차순(2007). 결혼이주여성의 다문화가족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 319-360.
  2. 구효진.최지선(2007). 열농어촌 다문화가정 유아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43-67.
  3. 김갑성(2006).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4. 김경숙.공진희.이민경(2007).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가정 유아 부모의 특성과 유치원 교육참여에 대한 질적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9(4), 311-335.
  5. 김병순(2007). 다문화 가정 자녀의 유치원 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유경(2005). 가족원 특성에 따른 다양한 가족의 실태와 사회적 지원 방안. 보건복지포럼, 통권 103, 47-72.
  7. 김희선(2007). 다문화가족 지원 현황 분석. 한국민족연구원. 현대의 다문화가족, 50-86.
  8. 김희태(2001).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다문화의 의미. 영유아보육연구, 7, 1-15.
  9. 김희태.권영덕(2007). 다문화 가정 유아의 유아교육 기관에의 적응과 변화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 95-117.
  10. 교원인적자원부(2006). 보고서 :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지원대책, 1-27.
  11. 문순영(2007). 현행법(안)을 통해 본 국제결혼 여성이 주민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여성연구, 72(1), 109-142.
  12. 박미경(2006). 교사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유아의 특성 및 교사의 어려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설동훈.김윤태.김현미.윤홍식.이혜경,임경택.정기선.주영수.한건수(2005).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14. 신란희(2005).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일 그리고 정체성 : 우즈베키스탄과 필리핀 여성의 생애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15. 양순미.정현숙(2006).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용과 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16. 여성가족부(2007). 결혼이민자가족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결과 발표. www.mogef.go.kr.
  17. 오성배(2005). 코시안(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18. 오성배(2007). 국제 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기회의 실태오 대안 모색. 인간 연구, 제12호.
  19. 윤갑정.고은경(2006).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의 한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생활에 대한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6(2), 147-168.
  20. 윤형숙(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한국사회학회.한국문화인류학회 공동연구.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경기도 : 한울 아카데미, 321-349.
  21. 이혜경(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22. 임경혜(2004).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문제에 따른 사회복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정은희(2004). 농촌지역 국체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언어치료연구, 13(3), 33-52.
  24. 조영달(2006). 다문화 가정의 자녀교육 실태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정책연구과제 2006-이슈-3.
  25. 최금해(2005).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에서의 적응기 생활체험과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 219-224.
  26. 한건수(2006). 이주 노동자 자녀의 한국 생활과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4), 195-243.
  27. 현정환(2008a). 영유아기의 다문화 교육연구의 동향과 과제.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논총, 19, 423-447.
  28. 현정환(2008b). 보육시설이용 다문화 가정부모의 보육에 대한 기대 및 문제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8(4), 31-47.
  29. 현은민.박혜영(2004). 시설보호 아동.청소년의 자아 탄력성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9-29.
  30. Cicchetti, D., & Valentino, K. (2006). An ecological-transactional perspective on child maltreatment : Failure of average expectable environment and its influence on child development. In D. Cicchetti & D. J.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Vol. 3. Risk, and disorder, adaptation (2Ed. pp.129-201). NJ : John Wiley & Sons.
  31. Downey, G., & Coyne, J. C. (1990). 'Children of depressed parents : an integr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8, 50-76.
  32. Egeland, B., Bosquet, M., & Chung, A. L. (2002).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hild maltreatment : Implications for breaking the cycle of abuse. In K. Browne, H. Hanks, P. Stratton, & C. E. Hamilton (Eds.), Early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pp.217-232). Chichester, England : Wiley.
  33. Grotberg, E. (1995). A guide to promoting resilience in children : Strengthening the human spirit. The Hague, Netherlands : The Bernard van Lee Foundation.
  34. Grotberg, E. (1998). I am, I have, I can : What families worldwide taught us about resilience. The Community Circle of Caring Journal, 3, 36-39.
  35. Prevatt, F. F. (2003). The construction of parenting practices in a risk and resiliency model of children's adjustment,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1, 469-480. https://doi.org/10.1348/026151003322535174
  36. Rutter, M. (1990). 'Some focus and process considerations regarding effects of parents dep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6, 60-67.
  37. Seifer, R., & Dickstein, S. (1993). 'Parental mental illness and infant development', in C. H. Zeanah (ed.), Handbook and Infant Mental Health (New York : Guilford Press).
  38. Wachs, T. D., & Weizmann, F. (1992). 'Prenatal and genetic influence upon behavior and development', in C. E. Walker and M. C. Roberts (eds), Handbook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New York : Wiley).
  39. Wilkes, G. (2002). Abused child to nonabusive parent : Resilience and conceptual chang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3), 261-276. https://doi.org/10.1002/jclp.10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