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tellite Trajectory Correction Maneuver for Lunar Mission based on Three-Body Dynamics

달탐사 임무를 위한 3체 운동방정식 기반의 인공위성 궤적보정 기동

  • 조동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
  • 정영석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대학원) ;
  • 이동헌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대학원) ;
  • 정보영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대학원) ;
  • 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 Received : 2010.02.03
  • Accepted : 2010.07.23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During the lunar mission, spacecraft are subject to various unexpected disturbance sources such as third body attraction, solar pressure and operating impulsive maneuver error. Therefore, efficient trajectory correction maneuver (TCM) strategy must be required to follow the designed mission trajectory. In the early days of space exploration, the mission trajectory has been designed by using patched conic approach based on two-body dynamics for the lunar mission. Thus the TCM based on two-body dynamics has been usually adopted. However, with the advanced in computing power, the mission trajectory based on three-body dynamics is attempted recently. Thus, these approaches based on two-body dynamics are essentially different from real environment and large amount of energy for the TCM is required. In this work, we study the trajectory correction maneuver based on three-body dynamics.

달탐사 임무를 수행하는 인공위성의 경우 임무수행을 하는 과정에서 3체에 의한 인력, 태양풍 그리고 추력시스템의 추력오차 등의 많은 예기치 못한 외부 섭동력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주어진 임무궤도를 따라서 인공위성이 운영되기 위해서 궤적 보정 기동이 필요하다. 우주 탐사의 초창기 시절에는 이러한 임무궤도는 주로 2체 운동방정식에 기반을 한 패치 코닉(Patched Conic)기법으로 생성을 하였으며, 이로 인해 2체 운동방정식에 기반을 한 궤적 보정 기동이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최근 컴퓨터 연산능력의 향상에 기인하여 이러한 임무궤도를 지구-인공위성-달의 3체 운동방정식에 기반하여 설계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기존의 2체 운동방식 기반의 궤적 보정 기동으로는 실제 우주환경과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달의 작용권구(Sphere of Influence)에 접근할수록 많은 궤도오차를 보이며,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3체 운동방정식에 기인한 궤적 보정 기동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은정, 박창수, 조상범, 노웅래, 주광혁, 최남미, 이상률, "한국형발사체를 사용한 달탐사위성의 발사 임무 설계",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Nov., 2008.
  2. 송영주, 박상영, 최규홍, 심은섭, "등저추력을 이용한 최적의 달탐사 비행궤적 설계",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발표회, Nov., 2008.
  3. 이동헌, 조동현, 정보영, 방효충, "Hybrid 추력기를 적용한 지구-달 천이 궤적 설계",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계학술발표회, Apr., 2009.
  4. 송영주, 박은서, 유상문, 박상영, 최규홍, 윤재철, 임조령, 최준민, 김병교, "B-평면 조준법을 이용한 화성 탐사선의 궤적 보정을 위한 최적의 기동 설계", J. Astron. Space Sci., 2005, pp. 451-462. https://doi.org/10.5140/JASS.2005.22.4.451
  5. Battin, R. H., "An Introduction to the Mathematics and Methods of Astrodynamics", AIAA Education Series, 1987, pp. 543-549.
  6. Gomez, G., Marcote, M., and Masdemont, J. J., "Trajectory correction manoeuvers in the transfer to libration point orbits", Acta Astronautica, 2005, pp. 652-669.
  7. Prussing, J. E., Conway, A. C., "Orbital Mechan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pp. 32-36.
  8. Schaub, H., Junkins, J. L., "Analytical Mechanics of Space Systems", AIAA Education Series, 2003, pp. 536-540.
  9. Vallado, D. A., "Fundamentals of Astrodynamics and Applications",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1997.
  10. Born, G. H., "Design of the Approach Trajectory: B-Plane Targeting", 2005 ccar.colorado.edu/asen5519/imd/documents/approach.pdf.

Cited by

  1. Analysis of Delta-V Losses During Lunar Capture Sequence Using Finite Thrust vol.28, pp.3, 2011, https://doi.org/10.5140/JASS.2011.28.3.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