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Gunbibosinhangam-tang and Gunbibosinhangam-tang-gamibang on Solid Tumor and Immune Cells in Mice

건비보현항암탕(健脾補腎抗癌湯) 및 건비보현항암탕가미방(健脾補腎抗癌湯加味方)이 고형암 및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 Lee, Seon-A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o, Seok-J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Eun, Seon-Hy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Lee, Hyun-K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Ahn, Min-Seob (Departmen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Kwon, Young-Mi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Yoo, Da-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Bucheon JaSeng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
  • Moon, G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이선아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고석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은선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현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민섭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권영미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 유다영 (자생한방병원 한방내과) ;
  • 문구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Received : 2010.07.15
  • Accepted : 2010.08.12
  • Published : 2010.08.25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Gunbibosinhangam-tang (GBHT I) and Gunbibosinhangam-tang-gamibang (GBHT II, GBHT III) on solid tumor and immune cell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4 groups ; Control, no treatment. GBHT I, treatment with GBHT itself. GBHT II, treatment with GBHT increased the quantity of Hedyotis Diffusae twice. GBHT III, treatment with GBHT increased the quantity of Hedyotis Diffusae four tim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BHT on proliferation of solid tumor cells (S-180), thymocytes, splenocytes in vitro in order to examine cytotoxicity for S-180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The experiments that is about solid tumor weight and survival rate in tumor bearing mice were performed also.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reatments with GBHT II and GBHT III suppressed the proliferation of S-180 effectively. Treatments with all experimental groups accelerated the proliferation of thymocytes and splenocytes significantly. In addition, GBHT II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solid tumor weight and increased on survival rate in tumor bearing mice. Based up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GBHT and GBHT-gamibang have both anti-cancer effects for S-180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for thymocytes and splenocyt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GBHT and Hedyotis Diffusae is useful to treat the patients with cancer.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종양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p 1-2, 1992.
  2. 박재갑. 인간생명과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pp 622-662, 1989.
  3. 해리슨내과학 편집위원회. HARRISON's 내과학. 서울, 도서출판 MIP, pp 630-633, 2006.
  4. 문 구, 정병학, 김병주. 암 동서의 결합치료. 익산, 원광대출판국, pp 253-257, 461-466, 1999.
  5. 신민교. 임상본초학. 서울, 영림사, pp 172-173, 179-180, 188-189, 194-195, 226-227, 260-261, 279-280, 445-446, 469-470, 569-570, 576-577, 580-581, 585-586, 593-594, 649-650, 819-820, 2002.
  6. 고수미. 健脾補腎抗癌湯에 의한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의 활성화 및 그 기작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7. 조영기. Human Neuroblastoma Cell Line BE2에 대한 健脾補腎抗癌湯의 항암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8. 신민교. 원색임상본초학. 서울, 영림사, p 688, 1968.
  9. 이창복. 대한식물도감, 서울, 항문사, p 693, 1982.
  10. 박정배, 성낙일, 이준엽, 허인경, 김승민, 남지형, 이용국, 최재혁, 백진호, 장태정, 이종임, 박건욱. 위암세포주에서 白花蛇舌草의 세포자멸사 효과. 동국의학, 13(2):64-72, 2006.
  11. 송호준, 김태현. 白花蛇舌草煎湯液投與가 마우스의 抗腫瘍免疫反應에 미치는 영향, 본초학회지 9(1):83-97, 1994.
  12. 이효정, 이은옥, 이연희, 김관현, 이재호, 백남인, 나정찬, 김성훈. 국내산 白花蛇舌草전초와 뿌리의 항암효과. 생약학회지 35(2):110-115, 2004.
  13. 김일주, 이건업, 소홍섭, 박래길, 원진희, 문 구, 문석재. 白花蛇舌草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HL-60 세포 고사과정의 caspases 활성변화 연구, 한국전통의학지 10(1):255-269, 2000.
  14. 이효정, 송규용, 라정찬, 안규석, 김성훈. 중국 및 국산 白花蛇舌草의 항암활성과 지표물질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7(4):1059-1064, 2003.
  15. 김성훈, 송규용, 류시용. 白花蛇舌草헥산분획과 다당체가 항암 및 항전이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3(1):65-75, 1999.
  16. Wysocki, L.J. and Sato, V.L. "Planning" for lymphocytes ; A method for cell selection, Proc. Natl. Acad. Sci, 75(6):2844-2848, 1978. https://doi.org/10.1073/pnas.75.6.2844
  17. Mizel, S.B., Rosenstreich, D.L. Regulation of lymphocyte-activating factor (LAF) production and secretion in P388D1 cells ; identific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precursors of LAF, J. Immunol. Methods, 122(6):2173-2179, 1979.
  18. 최승훈. 동의종양학. 서울, 행림출판사, p 13, 1995.
  19. 賈堃. 癌瘤防治硏究. 서울, 성보사, pp 25-26, 1984.
  20. 김상찬. 종양의 치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경산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997.
  21. 滑 壽 著, 金恭彬 編譯. 難經本義, 서울, 현동학당출판부, pp 336-338, 2005.
  22. 東醫寶鑑國譯委員會. 對譯 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pp 1276-1288, 2002.
  23. 박종현, 신상우. 한의학의 종양에 대한 인식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6(5):867-872, 2002.
  24. 곽계호, 임낙철, 김성훈. 종양의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부작용에 대한 한방약물요법. 동의병리학회지 9(2):45-87, 1995.
  25. 안덕균. 원색 한국본초도감. 서울, 교학사, p 83, 2002.
  26. 劉春安, 彭 明. 抗癌中草藥大辭典, 湖北洪湖市, 湖北科學技術出版社, pp 367-371, 1994.
  27. 毛德西. 中西醫腫瘤診療大典. 북경, 중국중의약출판사, p 791, 1996.
  28. 박경식, 박정휘, 김동의, 김성훈. 葦莖湯 ․ 加味葦莖湯의 A549에 대한 細胞毒性과 S-180에 대한 抗癌效果, 동의병리학회지 9(2):217-245, 1995.
  29. 대한병리학회. 병리학 2판. 서울, 고문사, pp 577-578, 1088, 1995.
  30. 신영기. 임상진단학. 서울, 계축문화사, p 566, 1987.
  31. 이광호, 김성훈, 송효정. 桔梗湯과 加味桔梗湯의 抗癌效果와 免疫反應에 관한 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0(1):105-119,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