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rends Analysis of Research on Children's Daily Stress

유아와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1990-2009년 게재 논문의 연구 대상, 내용, 방법을 중심으로

  • Choi, Na-Ya (Dept. of Child & Family Studies, The Catholic Univ. of Korea) ;
  • Suh, Joo-Hyun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Seoul Nat'l Univ.) ;
  • Kim, Jin-Kyung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 Education)
  • 최나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아동학) ;
  • 서주현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 김진경 (육아정책연구소)
  • Received : 2010.01.15
  • Accepted : 2010.04.01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children's daily stress from 1990 to 2009. A total of 97 articles were selected from 30 Korean journals in the field of child developm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psychology and so on. We analyzed the trends of research focusing specifically on the participants, themes, and methodology by 5 years, and discussed the features of major stress sca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 on children's stress star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and drastically increased in the latter half of that decade. In the following decade, more various journals dealt with articles on children's stress, and more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intervention of stress. Secondly, many studies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change in stres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ame age group. The younger preschoolers participated in studies as years go by, indicating that the age of suffering from stress was downward. Thirdly, most research used stress as a dependent variable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stress. Fourthly, questionnaires,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used as methods to measure children's stress, while qualitative research was rarely conducted. Lastly, scales to measure children's stress should be revised and developed, especially for succeeding research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Keywords

References

  1. 고영미(1995).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가족변인과 성별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금주 . 윤진 . 문은영(1993). 한국 청소년 비행 연구의 동향과 심리학적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7(1), 12-27.
  3. 김길임 . 심희옥(2002). 일상적 스트레스와 또래 괴롭힘의 가해와 피해경험: 학년과 성별 비교. 아동학회지, 23(5), 139-151.
  4. 김미예(2005).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및 건강 문제. 아동간호학회지, 11(1), 83-89.
  5. 김보림 . 엄정애(2007). 유아 조기특기교육의 실태와 어머니 양육신념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5(8), 13-24.
  6. 김수미 . 이숙(2007).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11(2), 89-104.
  7. 김영천 . 조재식(2001).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4(3), 25-81.
  8. 김용수 . 박현주(2008).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의 분석. 아동교육, 17(4), 63-76.
  9. 김정원 . 이정화(2002). 유아의 방과후 활동 경험과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121-137.
  10. 김지영(2006). 유아 수학평가 도구를 사용한 수학 연구의 동향 분석: 1981년 이후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6(1), 233-252.
  11. 김혜경 . 류왕효(2006). 시간 연장 보육아동의 스트레스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5, 207-225.
  12. 문혁준(2006). 시설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변인 연구: 정서 지능과 학교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0), 1-8,
  13. 민하영 . 유안진(1998).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생활 스트레스 척도 개발. 아동학회지, 19(2), 77-96.
  14. 박은주 . 조희숙(2001).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논집, 10, 161-185.
  15. 박원희 . 오윤자(2008).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양식. 아동교육, 17(4), 167-176.
  16. 박화윤(2005). 놀이영역과 활동형태에서 유치원의 질에 따른 유아스트레스 행동, 한국영유아보육학, 16, 73-96.
  17. 박화윤 . 안라리 . 하양승(1998). 종일제와 반일제 유치원 프로그램의 유아스트레스 행동. 유아교육연구, 18(2), 135-155.
  18. 신은영 . 김경연(1996). 아동이 지각한 스트레스 사건, 스트 레스 사건의 경험 빈도 그리고 스트레스 수준. 대한가정학회지, 34(4), 33-47.
  19. 신의진(2002). 조기교육과 발달병리적 문제 한국 조기 교육의 현황과 과제. 2002년도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29-42.
  20. 안라리(1995). 유아교육기관의 질에 따른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 종일제 유아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양혜영 . 정승원(1999) 양육환경과 기관의 질이 유아의 스트 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0(4), 141-158.
  22. 염현경(1998).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1(1), 67-82.
  23. 염현경 . 김태련(1999).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분석 연구-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2), 35-48.
  24. 우남희 . 백혜정 . 김현신(2005). 조기 사교육이 유아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유치원 원장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1), 5-24.
  25. 우희정(1996).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8(2), 43-51.
  26. 유수경 . 황해익(2007). '유아교육연구' 에 나타난 질적 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27(2), 295-321.
  27. 이문옥 . 이지영 . 이방실(2006). 유아 언어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1996-2005. 유아교육연구, 26(5), 401-424.
  28. 이윤경(1992).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학급 집단 크기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활동 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 육영회 학술보고서, 3, 7-12.
  29. 이윤경(1994). 유아교육프로그램의 학급크기가 유아의 스트레스 행동과 활동형태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4(2), 153-169.
  30. 정성배(2003). 음악활동이 특수아동의 스트레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25, 37-55
  31. 정동화(2002). 아동의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일 연구, 교육문제연구, 17, 135-153.
  32. 정원주 . 윤종희(1997). 아동기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 대처 행동 및 그 증상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6), 87-99.
  33. 조소진 . 문혁준(2006). 유아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집, 23(1), 5-25.
  34. 조붕환(2006).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아동교육, 15(3), 5-21.
  35. 지금수 . 이영환 . 박성옥 . 한종혜(1997). 한국과 미국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비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6), 261-273.
  36. 최미숙 . 황윤세(2004). 유아발달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 경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24(5), 187-205
  37. 한미현 . 유안진(1995)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3(4), 49-64.
  38. 한미현 . 유안진(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 과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17(1), 173-188.
  39. 한태숙 . 김연 . 황혜정(2005). ' 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1994-2004. 유아교육연구, 25(3), 219-238.
  40. 허우정 . 황해익(2006). 유아교육 관련 학회지 수록 논문의 동향 분석. 영유아보육연구, 8, 23-40.
  41. 홍광식(1994). 학교 스트레스의 비교연구: 한국과 일본의 초 . 중학생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8, 95-108.
  42. Band, E. B., & Weisz, J. R.(1988). How to feel better, when it feels bad: Children's perspectives on coping with everyday stress. Developmental Psychology, 24, 247-253.
  43. Burts, D. C., Hart, C. H., Charlerworth, R, & Kirk, L.(1990). A comparison or frequencies of stress behaviors observed in kindergarten children in classroom with developmentally appropriate versus developmentally inappropriate instrumental practic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 407-423. https://doi.org/10.1016/0885-2006(90)90030-5
  44. Elkind, D.(1988). The hurried child: Growing up too fast too soon (Rev. ed.). MA.: Addison-Wesley.
  45. Henniger, M. L.(1994). Play: Antidote for childhood stress. Early Development and Care, 105, 7-12.
  46. Humphrey, J. H.(2004). Childhood Stress in Contemporary Society. The haworth press, Inc. N.Y.
  47. Johnson, J. G., & Rornstein, R F.(1991). Does daily stress independently predict psychopatholog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0, 58-74. https://doi.org/10.1521/jscp.1991.10.1.58
  48. Lazarus, R. S., & DeLongis, A. (1983). Psychological stress and copying in aging. American Psychologists, 38, 234-254.
  49. Lazarus, R S., & Folkman, S.(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linger published company.
  50. Natvig, G. K., Albrektsen, G., & Qvarnstrom, U.(2001). School-related stress experiences as a risk factor for bullying behavior.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0(5), 561-575. https://doi.org/10.1023/A:1010448604838
  51. O'brien, S. J.(1988). Childhood stress: A creeping phenomenon. Childhood Education, 65, 105-106. https://doi.org/10.1080/00094056.1988.10522407
  52. O'brien, R W. & Iannottti, R J.(1990). A comparison of mothers' and children's reports of life stress in the children's live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9 495.
  53. Parfenoff, S. H. & Jose, P. E.(1989). Measuring daily stress in children.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Kansas City, MO.
  54. Taki, M.(2001). Relation among bullying, stress and stressor: A follow-up survey using panel data and a comparative survey between Japan and Australia. Japanese Society, 5, 118-132.
  55. Waters, W. F., Rubman, S., & Hurry, M. J.(1993). The prediction of somatic complaints usin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 Inventory(ANSRI) and the Daily Stress Inventory(DSI).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1(2), 117-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