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Analysis on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Evaporative Impinging Spray

증발 충돌분무의 거동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 염정국 (동아대학교 기계공학과)
  • Received : 2009.12.30
  • Accepted : 2010.03.2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분사된 연료의 미립화(atomization), 증발(evaporation), 그리고 혼합기형성과정(mixture formation process)이 디젤엔진의 착화 및 연소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디젤엔진 내에 분사된 연료의 구조해석으로부터 일련의 과정, 즉 고압분사, 분열(breakup), 미립화, 그리고 주위기체의 난류 도입(entrainment)에 관한 연구$^{1-3)}$는 꾸준히 행해져왔다. 본 연구는 증발디젤분무의 구조해석으로부터 디젤충돌분무의 혼합기형성과정을 조사한다. 주위기체의 밀도는 실험변수로서 선택하였고, $5.0kg/m^3$에서 $12.3kg/m^3$까지 변화시켰다. 그리고 소형고속디젤엔진에 있어서 연료분사초기의 상태의 고온 고압 설정이 가능한 정적용기를 사용했다. 주위 온도와 연료분사압력은 각각 700K 및 72MPa로 일정하게 유지했다. 충동증발분무의 액상과 기상의 이미지는 엑시플렉스형광법으로 동시 계측하였다. 실험결과로서 주위기체의 밀도가 높을수록 충돌분무의 선단도 달거리가 주위기체의 항력으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Y. Wakuri, M. Fujii, T. Amitani and R. Tsuneya, 1959, "Studies on the Penetration of Fuel Spray of Diesel Engine," JSME(part2), Vol. 52, No. 156, pp. 820-826(in Japanese).
  2. H. Hiroyasu, T. Kadota and S. Tasaka, 1978, "Study of the Penetration of Diesel Spray," JSME, pp. 3208-3219(in Japanese).
  3. H. Hiroyasu and M. Arai, 1980, "Fuel Spray Penetration and Spray Angle in Diesel Engines," JSAE, No. 21, pp. 5-11(in Japanese).
  4. J. K. Yeom, T. Takahashi, T. Tanaka, S. Kusano, J. Senda and H. Fujimoto, 1999, "The Structure Analysis of Impinging and Free Diesel Spray with Exciplex Fluorescence Method i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Field," The 15th Internal Combustion Engine Symposium (International) in Seoul, No. 22, pp. 117-122.
  5. L. A. Melton, 1983, "Spectrally Separated Fluorescence Emissions for Diesel Fuel Droplets and Vapor," Applied Optics, Vol. 21, No. 14, pp. 2224-2226.
  6. T. Dan, S. Takagishi, K. Onishi, J. Senda and H. Fujimoto, 1996, "Effect of Ambient Gas Viscosity on the Structure of Diesel Fuel Spray," JSME(part2), Vol. 62, No. 95-1526, pp. 2867-2873.
  7. J. K. Yeom, 2009, "Thermodynamic Approach to the Mixture Formation Process of Evaporative Diesel Spray", KSME(B), Vol. 33, No. 3, pp. 201-206. https://doi.org/10.3795/KSME-B.2009.33.3.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