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보사찰의 조경식물 및 식재특성

Landscape Plants and Planting Characteristics of Three-Treasure Temples

  • You, Ju-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Hong, Kwang-Py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Lee, Dong-H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0.01.18
  • 심사 : 2010.03.17
  • 발행 : 2010.04.30

초록

본 연구는 삼보사찰인 해인사, 통도사, 송광사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종과 식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전통식재양식에 대한 기초이론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삼보사찰의 식재종은 57과 96속110종 12변종 7품종 등 총 12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불교와 관련된 식물종은 불두화, 수국, 파초이며, 이들은 식물형태, 불교의식 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성상 분석 결과, 교목 34.1%, 관목 33.3%, 만경 3.9%, 초본 28.7%로 분석되었다. 낙엽 유무에 따른 분석 결과, 낙엽활엽 56분류군, 상록활엽 27분류군, 상록침엽 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자생종의경우, 해인사 32분류군, 통도사 27분류군, 송광사 44분류군이며, 외래종의 경우 해인사 20분류군, 통도사 28분류군, 송광사 4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재특성 분석 결과, 해인사 일주문의 경우 전나무가 열식되어 있었고, 해탈문 화계의 경우 백목련 이 단식으로 식재되어 있었으며, 적묵당 화계의 경우 개비자나무가 일정 간격으로 식재되었다. 대적광전의 경우, 중앙 계단을 중심으로 양쪽에 자목련이 대식되어 있어 균형감과 정형미를 유지하고 있었다. 통도사의 경우, 일주문에는 팽나무, 느티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으며, 영산전의 경우 오죽이 차폐식재되어 있었다. 황화각은 건물 중앙 전면부에 대칭식재되어 있었으며, 대광명전은 혼합식재형태를 하고 있었다. 송광사 일주문 주변에는 일정한 식재형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도성당의 경우 산수유가 서쪽에 열식된 형태를 하고 있었다. 관음전의 경우 옥향과 동백나무가 대칭식재되어 있었고, 대웅보전 정면에는 수령이 오래된 수목들이 표본식재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basic theory about Korean traditional planting pattern by analyzing a characteristic of planting and planted species in Haein, Tongdo and Songkwang Temp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lanted species in three-treasure temples were 129 taxa; 57 families, 96 genera, 110 species, 12 varieties and 7 forma. The species related in Buddhism were Viburnum sargentii for. sterile, 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 and Musa basjoo. They are related in plant form and Buddhist ceremony. The results of forms were 34.1% in trees, 33.3% in shrubs, 3.9% in vine and 28.7% in herbage. The results of leaf fall were 56 taxa in broad-leaved deciduous trees, 27 taxa in broad-leaved evergreen trees and 14 taxa in needle-leaved evergreen trees. The native species were 32 taxa in Haein Temple, 27 taxa in Tongdo Temple and 44 taxa in Songkwang Temple. And the exotic species were 20 taxa, 28 taxa and 44 taxain the Haein, Tongdo and Songkwang Temples,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nting, in the case of Haein Temple, Abies holophylla was linearly planted in Yiljumun, and Magnolia denudata was single planted in plant stairs of Haetalmun. In the case of plant stairs of Jeokmukdang, Cephalotaxus koreana was plant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ase of Tongdo Temple, Celtis sinensis, Zelkova serrata and so forth were planted in Yiljumun, and Phyllostachys nigra was planted in form of screen planting in Youngsanjeon. The form of Hwanghwagak was a planting of symmetry in the center of a building, and the one of Daekwangmyyeongjeon was a mixed planting. The regular planting pattern was not shown in Yiljumun of Songkwang Temple. In the case of Dosungdang, Corunus officinalis was linearly planted in the west. In the case of Gwaneumjeon, Juniperus chinensis var. globosa and Camellia japonica were planted in symmetry. The old aged trees were planted in front of specimens planted in front of Daewoongboje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고명희, 김용식, 오현경(2005) 우리나라 호랑가시나무 잎의 형태적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4): 348-357.
  2. 권영한(1993) 속 나무이야기. 서울: 전원문화사.
  3. 김남철, 홍광표(1993) 삼보사찰의 조경수목 식재현황에 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1: 33-44.
  4. 김남철, 홍광표(1995) 불국사의 조경수목 식재현황에 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3: 59-74.
  5. 김용식, 강호철, 김광두, 김동엽, 김인호, 김창환, 노재현, 변무섭, 송근준, 신현탁, 안영희, 오구균, 이경재, 이유미, 임동욱, 장병관, 전승훈, 정정채, 주병철, 최송현, 한봉호(2008) 최신 조경식물학. 서울: 광일문화사.
  6. 김재영(2005) 통도사 공간구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7세기-14세기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문, 정룡, 김재식(2005) 조계산 송광사의 공간 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39-54.
  8. 김철환(2000) 자연환경 평가: I.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 163-198.
  9. 문화재청(2000) 완주 송광사 종루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보고서.
  10. 박수현(2001)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서울: 일조각.
  11. 박용진, 박인환, 방광자, 백지성, 신영철, 이기의, 이종석, 주명철(2003) 신고 조경수목학. 서울: 향문사.
  12. 백유정, 곽동엽(2008) 서울 근교 사찰 도입부 구성요소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159-166.
  13. 송광사(2001) 조계산 송광사지. 순천: 도서출판 송광사.
  14. 신영철, 곽병화(1982) 한국사찰의 경관과 식물상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 논문집 3: 345-410.
  15. 오구균(1998) 식재설계 및 시공시 조경수종 사용에 있어서의 정확성과 자생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6(2): 251-258.
  16. 오세영(2006) 현대시와 불교. 파주: 살림출판사.
  17.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 온 나무와 꽃: 한국 전통 조경 식재. 서울: 수류산방.
  18. 이정식, 윤평섭(2002) 최신자생식물학. 서울: 도서출판 대선.
  19.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20. 임동옥, 황인천(2006) 가야산국립공원의 외래식물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3): 281-288.
  21. 정헌관, 김세현(2007) 우려 생활속의 나무. 국립산림과학원.
  22. 최상범(2006) 조경식재학. 서울: 가문당.
  23. 최상범, 하재호(1998) 불갑사(전남 영광군)의 식물상 조사 연구. 사찰조경연구 6: 181-200.
  24. 통도사성보박불관(2001) 통도사의 역사와 문화재. 양산: 통도사성보박물관.
  25. 하재호, 김남철(1999) 불국사의 식물상과 관리계획에 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7: 43-59.
  26. 하재호, 홍광표, 김남철(1997) 선암사의 조경수목 식재현황에 관한 연구. 사찰조경연구 5: 45-57.
  27. 한국조경학회(1996) 조경수목학. 서울: 문운당.
  28. 한봉호, 배정희, 김지석, 이경재(2008) 서울 월드컵공원 평화의공원 지구의 식재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2): 42-52.
  29. 해인사(2009) 해인사 경역정비 기본계획. 해인사 보고서.
  30. 허상현(2005) 전통사찰의 조경수 식재 실태연구: 불국사, 분황사, 기림사, 골굴사. 사찰조경연구 10: 79-92.
  31. 홍광표, 김용기, 백난영(1996) 가야산 해인사의 입지성에 관한 연구. 불교학보 33: 209-227.
  32. 홍장표, 이상윤, 장병현(2000) 사찰의 화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2):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