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Operating Strategy for Recreation Forests through Comparing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according to Clusters

군집별 만족도 비교를 통한 자연휴양림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 Gang, Kee-Ra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Kee-Cheo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강기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기철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0.01.12
  • Accepted : 2010.04.02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Recreation forests are in the spotlight as the place for personality development, mind and body comfort, companionship, and environment education in forests and valleys. Visitors to recreation forests have been on the increase along with booming in recreation forest building since 1988. Recreation forests are being categorized according to some features such as regio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 Recreation forests, however, have not met the expectations of some visitors who want to take a rest with calmnes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5-day-work-week system, increasing interest in rest, leisure, and well-being, and users converge during weekends, summer, and the tourist season. In order to improve visitors' satisfaction efficiently, this study surveyed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each cluster based on the precedent study which had classified 85 national or public recreation forests in Korea into cluster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properly to each cluster and, of the 1,132 questionnaires collected, 1,015 were valid and used for analysis. Reliability of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 validity of the model were verified. As a resul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ranking of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ffect the level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clusters. Variables in rest and fatigue recovery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clusters of potential factor, internal activation factor, and mixed potential capacity factor. In the use performance and visiting condition factor cluster, appropriateness of visit cost is most influential and, in the education cluster, connectivity with tourist attractions around it is most affective. These results can provide priority in services and maintenance of recreation forests for improv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differentiate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according to clusters.

산림과 계곡 속에서 휴양을 통한 개인의 자아개발과 주위사람들과의 교류의 장소, 환경에 대한 교육의 장소, 심리적 안정과 정신적 편안함을 누리기 위한 장소로서 자연휴양림이 각광을 받고 있다. 1988년부터 급격히 설립되기 시작한자 연휴양림은 이용객 또한 증가되고 있으며, 지역적 여건이나 환경적 여건에 따라 그 특징이 세분화 되어 가고 있다. 그리고 주 5일제의 영향과 휴식, 여가, 웰빙 등에 대한 관심 증대 그리고 여름이나 행락철 또는 주말에 집중되는 이용객들로 인해 조용히 심신의 휴양을 원하는 방문객들은 기대한 휴양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용객의 효율적 만족도 향상을 위해 전국 국 공유 85개 자연휴양림을 군집분류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각의 군집별 만족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설문은 각각의 군집별로 적절히 배분하여 1,132부를 회수하여 유효한 설문지 1,01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설문의 신뢰성과 구축된 모형식의 통계적 적절함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군집별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의 순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수용잠재적 자연휴양림군집, 내부활동적 자연휴양림군집, 내부활동, 수용잠재혼합 자연휴양림군집에서는 휴양 및 피로회복의 변수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외의 변수들의 영향력 순서도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용실적지표 자연휴양림군집에서는 방문비용의 적절함이, 교육적지 표 군집에서는 주변관광지와의 연계성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군집별로 차별화된 자원의 배분을 통하여 이용객에 대한 효율적인 만족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 및 자연휴양림 환경의 정비작업에 우선순위를 제공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래(2006) 자연휴양림 숙박시설 만족도 모형연구: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기래, 이기철(2009) 자연휴양림 이용자 만족도모형연구: 구미 옥성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한국임학회지 98(4): 435-443.
  3. 김범수(2005) 자연휴양림내 건축물의 시각적 영향에 관한 연구: 조령산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3(1): 49-57.
  4. 김철원, 윤혜진, 이태숙(2007) 국유자연휴양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객의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1(4): 101-119.
  5. 김현식, 황희연, 반영운(2008) 다변량해석에 의한 자연휴양림 유형구분. 국토계획 43(1): 225-233.
  6. 노형진(2002) 한글 SPSS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7. 산림청(1990) 자연휴양림설계기준. 산림청.
  8. 산림청(2009) 산림통계연보. 산림청.
  9. 서주환, 최현상, 전형석(2003) 도시근교형자연휴양림 이용행태와 만족도 분석: 서울근교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0(6): 57-65.
  10. 서철현(2004) 자연휴양림 숙박시설 이용자의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18(3): 29-46.
  11. 송형섭(1992) 휴양림의 풍치평가를 위한 계량화 모델의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기철, 강기래(2009) 군집분석을 통한 자연휴양림유형분류. 한국조경학회지 37(1): 9-17.
  13. 이창헌(1997) 자연휴양림 이용자의 특성 및 이용행태 분석 (2): 이용자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6(3): 352-364.
  14. 장병문(2001) 자연휴양림의 개발요소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9(3): 19-28.
  15. 한상열(2006) 기대불일치론에 의한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만족 및 지방문 결정경로. 한국임학회지 95(3): 291-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