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astric-Bile Juice Reflux in Patients from Hepatobiliary Scan with Subtotal Gastrectomy

위 부분절제술 환자의 간담도 스캔에서 위-담즙역류

  • Kwak, Dong-W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Kim, Ji-Hye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Kim, Kyung-Hu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Lee, Kyung-J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Park, Young-J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 Lee, In-W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 곽동우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 김지현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 김경훈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 이경재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 박영재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 이인원 (분당서울대병원 핵의학과)
  • Received : 2010.08.26
  • Accepted : 2010.09.13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Purpose: The hepatobiliary scan is the examinatio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e function of liver, gall bladder and closing of the biliary tract. Also, after subtotal gastrectomy, the increased gastric-bile reflux is known as the primary reason of reflux gastritis. In this study, according to changing the acquisition method, we tried to prove the reflux time and reflux index in patients who underwent subtotal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 2008 to Jan 2009, 72 patients with subtotal gastrectomy who took the hepatobiliary scan (man: 52, woman: 20, age range: 31-77, mean age: $60.5{\pm}7$) in our department. We used the radiopharmaceutical $^{99m}Tc$-mebrofenin 185 MBq/0.5 cc. After 5 minutes, we acquired 300,000 counts anterior image on supine, and then we acquired right lateral and $45^{\circ}$ LAO position by using the time setting method. We acquired 30 min, 60 min, 90 min, 120 min and fatty meal by the same method. We painted the ROI of liver, GB and CBD on 30 min anterior image and LAO image in patients had occurred the bile juice reflux. And then we painted the ROI of stomach on others image. We calculated the reflux index from those values.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we found out 40 patients (55.6%) who had occurred the gastric-bile juice reflux (1 person from 30 min, 7 persons from 60 min, 4 persons from 90 min, 28 persons from after fatty meal). Hourly, the bile reflux highest level is 6 persons from 60 min, 2 persons from 90 min, 32 persons from fatty meal among those people. The reflux index of anterior is 0.85-23.36% (mean 6.53%). The reflux index of LAO is 1-29.13% (mean 8.89%). By visual assessment, we can distinguish that there were 26 of the 40 patients (65%) had occurred the reflux on LAO image more than anterior image. Conclusion: We find out that the patients with subtotal gastrectomy had occurred gastric-bile juice reflux more than 50% from hepatobiliary scan. And after eating fatty meal, we can know that it's the most possible to occur the gastric-bile juice reflux. When it happened, we have to change the acquisition method to reduce the overlap between colon and stomach. This study will be more valuable in diagnosis.

간담도 스캔은 간세포와 담낭의 기능정도 및 담도계의 폐쇄여부를 알 수 있는 검사법이다. 또한 위부분절제술 후에 증가하는 위-담즙 역류는 담즙 역류성 위염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위부분절제술 환자의 간담도 스캔에서 위-담즙역류가 관찰되어 촬영방법에 따른 역류시기와 역류지표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원 핵의학과에 2008년 10월부터 2009년 1월까지 간담도 스캔을 시행한 환자 중 위부분절제술을 한 환자 72명(남자: 52명, 여자: 20명, 연령범위: 31-77세, 평균연령: $60.5{\pm}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99m}Tc$-mebrofenin 185 MBq/0.5 cc를 환자의 전주정맥에 주사 5분 후 바로 누운자세에서 전면상 30 kcounts를 획득하고, time setting으로 우측면상, $45^{\circ}$ 좌전사 위상을 획득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30분, 60분, 90분, 지방식 후 120분 영상을 획득하였다. 위-담즙역류가 일어난 환자의 경우 30분 전면상, 좌전사위상에서 liver, GB, CBD의 ROI를 그리고, 이후 영상들에서 위 역류 부분의 시간 별, 자세 별 관심영역을 그렸다. 그리고 그에 따른 역류지표 구하였다. 72명의 위부분절제술 환자 중 위-담즙역류가 40명(55.6%)의 환자에서 일어났으며, 30분 영상에서 1명, 60분 영상에서 7명, 90분 영상에서 4명, 지방식 후 영상에서 28명이었다. 시간 별 위-담즙역류가 최고치는 60분 영상에서 6명, 90분 영상에서 2명, 지방식 후 영상에서 32명으로 보였다. 전면상의 역류지표 0.85-23.36%(평균: 6.53%), 좌전사위상의 역류지표 1-29.13%(평균: 8.89%)이었다. 육안평가로는 26명(65%)이 전면상보다 좌전사위상의 위-담즙역류가 더 잘 구분되어 보였다. 위부분절제술 환자의 간담도 스캔에서 위-담즙역류가 50% 이상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고, 음식물을 섭취한 후 위-담즙역류가 가장 잘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담즙역류가 일어나는 경우 장과 위의 중첩을 줄여주는 좌전사위상을 촬영하고 환자마다 그에 따른 시간대의 위-담즙 역류 지표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에서 간담도 스캔 목적 이외의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