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Treatment Program for Drug Abusers in Prison

마약류 수용자의 처우 프로그램 효과

  • Received : 2009.11.30
  • Accepted : 2010.01.11
  • Published : 2010.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imate the effects of treatment program as it stands for drug abusers in prison. For this study, 46 drug-related prisoner were surveyed in January, 2008 at Jinju prison which has provided special treatments for drug-related offenders. This study shows that the present treatment systems or programs don't work effectively than expected. Prisoner feel present programs won't be very helpfully after release. And they feel correction officers don't have enough concern about prisoners or treatment to them. The result also emphasizes that family members or friends' support and belief is essential to prevent recidivism and to decrease such a possibility. According to this survey result, special concern to youth abuser is necessary. And it can give more effectiveness when authorities provide more medical or physical treatments than just based on routine lecturing. Furthermore, small group treatments would be more successful comparing with large member group based program. Drug abusers want more experience study or work study programs. Finally authority's, family's, friends's and colleague's interest or concern toward prisoners could contribute to raise up the possibility of rehabilitation.

본 연구에서는 마약류 사용사범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교정처우의 개선방안에 대한 합리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교도소 내에서의 마약류 범죄자들에 대한 처우가 장래의 재범방지 및 교화개선에 효과적으로 기능하지 못한다는 가정 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수용자들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신뢰하지 않았으며, 제공되는 처우가 재범방지 및 재사회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았다. 담당직원의 관심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재소자가 전체의 43.4%로 프로그램의 개선 뿐 아니라 담당직원의 수용자에 대한 의식개선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강의와 주입식 진행에 치우친 처우프로그램들을 참여나 자발적인 활동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음과 시청각 자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험 또는 체험 위주의 프로그램 등도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의수준 $\alpha$=0.05 하에서 재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따른 마약류 사용 중단가능성에는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으로 가설이 검증되었으며, 회귀분석 결과 재교육 프로그램이 재범 방지에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충분한 근거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검찰청, 2007 마약류 범죄백서, 대검찰청, 2008.
  2. 이경재, "약물중독자에 대한 합리적 처우방안", 보호관찰, 제3호, pp.3-36, 2003.
  3. 대검찰청, 2007 마약류 범죄백서, 대검찰청, 2008.
  4. 대검찰청, 2007 마약류 범죄백서, 대검찰청, 2008.
  5. 법무부, 보호관찰 통계연보, 법무부, 2007.
  6. B. Foster, Corrections-The Fundamentals, Pearson Prentice Hall, 2006.
  7. J. Petersilia, Community corrections : probation, parole, and intermediate san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8. 대검찰청, 2006 마약류 범죄백서, 대검찰청, 2007.
  9.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Justice, Field Operations Division, IACP, Guidelines for Narcotic and Dangerous Drug Evidence Handling and Security Procedures,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2006.
  10. C. F. Levinthal, Drugs, society, and criminal justice, Pearson A and B, 2006.
  11. Howard Abadinsky, Probation and parole : theory and practice, Pearson/Prentice Hall, 2006.
  12. B. R. McCarthy, B. J. McCarthy(Jr), Community-based corrections, Wadsworth Pub. Co, 1997.
  13. D. J. Champion, Probation, parole, and community corrections, Pearson/Prentice Hall, 2005.
  14. S. B. MacDonald, B. Zagaris, International Handbook on Drug Control, Greenwood Publishing Group, inc, 1992.
  15. 최응렬, "마약류 중독 수형자의 관리와 처우", 교정연구, 제31호, pp.35-60, 2006.
  16. 이성식, 강은영, "우리나라 성인 약물중독의 실태 및 처우에 관한 의식조사", 교정연구, 제27호, pp.97-115, 2005.
  17. 강선경, 윤현준, "약물중독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약관련 재소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제21호, pp.85-115, 2003.
  18. 송방식, "마약류 수형자 처우실태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제17호, pp.161-194, 2002.

Cited by

  1. Effects of the Self-transcendence Enhancement Program among Patients with Drug Addiction: A Mixed Method Research vol.26, pp.1, 2017,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