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밸러스트 수 처리를 위한 Plasma Gun의 오존생성에 미치는 운전변수의 영향

Effects of Operating Parameters on Ozone Production by Plasma Gun for Ballast Water Treatment

  • 이현돈 (경상대학교 환경보전학과 대학원) ;
  • 김종오 (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
  • 정재우 (진주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녹색기술연구소)
  • Lee, Hyeon-D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Oh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ERD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ung, Jae-Wo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Green Technology Institute, Jin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1.14
  • 심사 : 2010.04.15
  • 발행 : 2010.04.30

초록

밸러스트수 처리를 위한 Plasma Gun의 전기적 특성과 오존 생성에 미치는 주요 운전변수들의 영향에 관해 실험실 규모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전개시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면 방전이 시작되고 오존이 생성되었으며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기체로 전달되는 에너지 및 오존 농도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오존 생성 측면에서 최적의 에너지 효율성을 얻을 수 있는 전극간 거리가 존재하였으며 실험된 장치에서는 1.95 mm의 전극간 거리에서 최적 효율이 얻어졌다. 전기에너지 특성에 미치는 내부전극 재질의 영향은 무시할만한 수준이었으나 내부전극의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 차이가 오존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정한 Plasma Gun 구조에서 오존 생성은 기체로 전달되는 에너지밀도에 의해 중요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입되는 기체의 산소함량이 증가할수록 오존 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operating parameters on electrical properties and ozone generation of Plasma Gun for ballast water treatment were investigated in a laboratory scale experiment. Electrical discharges and ozone generation initiated with applying voltages higher than discharge onset value. Ozone concentration was almost linear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pplied voltage. The optimum electrode gap distance which gave the optimum energy efficiency of ozone generation was 1.95 mm in the experimented apparatus. The effect of inner electrode material on the electrical energy transfer was negligible, however, the difference of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ies between electrode material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zone generation. In a constant geometrical structure, the electrical energy dens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ozone generation. The increase of oxygen content in the feeding gas enhanced the ozone generation by lowering ionization potential and promoting ozone source.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상호, 김인수(2004a), “선박에 대하여 변화되는 환경규제와 대응책”,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 28권, 제 8호, pp. 767-773. https://doi.org/10.5394/KINPR.2004.28.8.767
  2. 박상호, 김인수(2004b), “Bacillus sp.를 이용한 연속 회분식 반응장치에서 선박 오.폐수처리”, 제 28권, 제 3호, pp. 253-258.
  3. 박상호, 김인수(2005), “연속 회분식 공정(SBR)을 이용한 선박 오.폐수의 고도처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 29권, 제 5호, pp. 475-480. https://doi.org/10.5394/KINPR.2005.29.5.475
  4. 박선정, 임재동, 김동근, 김인수(2008), “밸러스트 수 처리용 필터 개발을 위한 여과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 32권, 제 6호, pp. 499-503. https://doi.org/10.5394/KINPR.2008.32.6.499
  5. 이용환, 정재우, 조무현(2002), “질소산화물 제거를 위한 무성 방전 공정의 전기 및 NO 전환 특성”, 대한전기학회지 51C, No. 1, pp. 15-21.
  6. 정재우, 이현돈, 이용환, 전기일, 김형갑, 조무현(2004), “무성방전 공정의 오존 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pp. 305-312.
  7. Carlins, J.J., and Clark, R.G.(1982), "Ozone generation by corona discharge", In Handbook of Ozone Technology and Application, Edited by R.G. Rice and A. Netzer, Ann Arbor Science Publisher, 1, pp.77-84.
  8. Eliasson, B., Hirth, M., and Kogelschatz, U.(1987), "Ozone synthesis from oxygen in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Journal of Physics D; Applied Physics, Vol. 20, pp.1421. https://doi.org/10.1088/0022-3727/20/11/010
  9. Finnoff, D., Shogren, J., Leung, B., and Lodge, D.(2005), "The imporance of bioeconomic feedback in invasive species management", Ecological Economics, Vol. 52(3), pp.367-381. https://doi.org/10.1016/j.ecolecon.2004.06.020
  10. 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www.IMO.org.
  11. Kogelschatz, U.(2000), "Ozone generation and dust collection", in Electrical Dischrages for Environmental Purposes, Edited by Veldhuizen, E.V., pp. 315-344.
  12. Margaret, E.G., Mesbahi, E., and Chris, L.J.(2008), "On board short-time high temperature heat treatment of ballast water: A field trial under operational conditions.", Marine Pollution Bullein, Vol. 56(1), pp.127-135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07.09.036
  13. Muhammad, A.M., Abdul, G., and Salman, A.M.(2001), "Water purification by electrical discharges", Plasma Source Science and Technology, Vol. 10, pp. 82-91. https://doi.org/10.1088/0963-0252/10/1/311
  14. Oemcke, D.J., and J. van Leeuwen(2005), "Ozonation of the marine dinoflagellate alga A mphidinium sp. - implications for ballast water disinfection.", Water Research, Vol. 39(20), pp. 5119-5125. https://doi.org/10.1016/j.watres.2005.09.024
  15. Tang, Z., Butkus, M.A., and Xie., Y.F.(2009), "Enhanced performance of crumb rubber filtration for ballast water treatment", Chemosphere, Vol. 74(10), pp. 1396-1399. https://doi.org/10.1016/j.chemosphere.2008.11.048

피인용 문헌

  1. Degradation of methyl orange by pulsed corona discharge process in water vol.53, pp.10, 2015, https://doi.org/10.1080/19443994.2014.931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