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sic Recommendation System in Public Space, DJ Robot, based on Context-awareness and Musical Properties

상황인식 및 음원 속성에 따른 공간 설치형 음악 추천 시스템, DJ로봇

  • Received : 2010.04.06
  • Accepted : 2010.05.27
  • Published : 2010.06.28

Abstract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DJ robots is to meet the demands of the music services which are changing very rapidly in the digital and network era. Existing studies, as a whole, develop music services on the premise of personalized environment and equipment, but the DJ robot is on the premise of the open space shared by the public. DJ robot gives priority to traditional space and music. Recently as the hospitality and demand for cultural contents of South Korea expand to worldwide, industrial use of the contents based on traditional or our unique characteristics is getting more and more. Meanwhile, the DJ robot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wo modules. One is to detect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other is to set the properties of the music by psychology, emotional engineering, etc. DJ robot detect the footprint of th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wind, noise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measured, and will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music source by repeated experiments and verification with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based on Hevner Adjective Circle. DJ robot will change the soundscape of the traditional space being more beautiful and make the revival and prosperity of traditional music with the use of traditional music through BGM.

DJ로봇 개발을 위한 연구는 디지털과 네트워크의 시대를 맞이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대중들의 음악 서비스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대체적으로 개인화된 환경, 개인화된 장비를 전제로 음악 서비스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DJ로봇은 공공이 공유하는 공간을 전제로 삼고 있다. DJ로봇은 우리나라 전통적 공간과 전통 음악을 우선적으로 한다. 최근 한국 문화에 대한 외국의 호의와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우리 전통 혹은 고유한 특질에 기초한 콘텐츠의 산업적 활용 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DJ로봇은 외부 환경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과 심리학, 감성공학 등에 의한 음악의 속성을 설정하는 방식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 공간의 온도, 습도, 조도, 풍속, 소음 등의 환경 요소를 측정 및 적용하고 헤브너의 감성분류법에 기초하여 감성공학에 의한 반복적인 실험과 검증을 통해 음원의 객관성을 확보할 것이다. DJ로봇은 전통 공간의 사운드스케이프를 아름답게 변화시키는 동시에 수용자 감성과 연계된 전통음악 BGM의 활용을 통하여 아직까지 극소수 사람들 사이에서만 소통되고 있는 전통음악을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인 기능을 지닌 문화콘텐츠로 재탄생 시키는 일에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민정희, "소리 환경을 도입한 공감각적인 환경 만들기",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 한명호, "도시공간의 쾌적 음환경 창조를 위한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 연구", 한국과학재단 지역 대학우수과학자 지원사업 연구 결과 보고서, 2003.
  3. 동신대학교, "능동형 음장조성시스템의 적용기술과 쾌적성 평가지표 개발", 환경부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결과 보고서, 2006.
  4. 송혁, 국찬, 장길수, "공공장소의 음풍경 재현을 위한 가상음장현장재현시스템 개발",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제14권, 제4호, pp.319-326, 2004. https://doi.org/10.5050/KSNVN.2004.14.4.319
  5. 전지현, 국찬, 장길수, "사운드스케이프 조성을 위한 음장조성시스템의 현장적용 평가",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제17권, 제4호, pp.289-297, 2007. https://doi.org/10.5050/KSNVN.2007.17.4.289
  6. 임성수, 조성배, "사용자 감정 및 환경을 고려한 퍼지추론 기반 음악추천 시스템", 2004년 한국정보과학회 가을학술발표논문집, 제31권, 제2호, pp.541-543, 2004.
  7. 송창우, 김종훈, 이정현, "홈네트워크에서 상황정보를 고려한 음악 추천 시스템 설계", 정보과학회 논문지 제33권, 제9호, pp.650-657, 2006.
  8. 이동주, 이상근, 이상구, "시간 상황 정보를 고려한 협업 필터링을 이용한 음악 추천",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6권, 제1호, pp.123-128, 2009.
  9. 장인종, "한국 전통음악의 음악적 요소가 정서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152-163, 2009.
  10. K. Hevner, "Experimental Studies of the elements of Expression in Music,"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48, pp.246-268, 1936. https://doi.org/10.2307/1415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