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Fermented Cattle Manure on Forage Yield, Quality and Soil Characteristics in Orchardgrass at Jeju Area

제주지역 오차드그라스 초지에서 톱밥발효우분퇴비 시용수준이 목초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 Hwang, Kyung-Jun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Park, Nam-Geon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Park, Hyung-Soo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Lee, Chong-Eon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Kim, Nam-Young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Ko, Moon-Suk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
  • Kim, Moon-Chul (Collage of Applied Life Sciences, Cheju National University) ;
  • Song, Sang-Teak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ource Research,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황경준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
  • 박남건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
  • 박형수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
  • 이종언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
  • 김남영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
  • 고문석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
  • 김문철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송상택 (제주특별자치도환경자원연구원)
  • Received : 2010.04.27
  • Accepted : 2010.05.3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the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forage yield, quality and soil in orchard grass pasture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Subtropical Animal Experiment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from 2008 to 2009. The experiment was arrang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 consisted of chemical fertilizer (CF N-200 kg/ha), cattle manure 50% (basis N, CM50%), CM100% (basis N), CM200% (basis N). The dry matter (DM) yield of CM200% was the highest among the other treatments. CF showed the highest average crude protein (CP) content by 12.4% and CM50% showed the lowest content by 11.0%. Average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 were 30.4 and 69.7% respectively. All treatments have narrow range of total digestibility nutrient (TDN) from 64.0% to 69.1%. But there were big difference between treatment in forage nitrate content. Changes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for applications of CF 200% and CM 200% was clearly in cattle manure application. Especially, CM application in pasture increased CF application with respect to soil pH, organic matter (OM), and avaliable phosphorous ($P_2O_5$) contents of soils.

본 시험은 2007년부터 2008년까지 톱밥발효우분퇴비 시용수준에 따른 오차드그라스의 생산성과 질산염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난지축산시험장 조사료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시험처리는 화학비료 (CF) 200 kg/ha를 대조구로하여 톱밥발효우분퇴비 (CM)를 질소기준 50, 100, 200%를 두어 처리하였다. 건물수량에서는 2년 평균 CM 200%구가 20,177 kg/ha로 CF구 19,165 kg/ha와 비슷한 수량을 보였다. 처리별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CF구가 12.4%로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ADF 함량은 평균 32.1~32.8%의 범위로 전 처리구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NDF 함량도 처리별 평균 61.3~62.9%의 범위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TDN 함량에서는 63.6%로 CM50%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오차드그라스의 질산염 함량에 있어서는 CF구가 톱밥발효우분퇴비 수준별 시비구 보다 높았으며, 질산염 함량수준은 18.7~530.4 mg/kg으로 가축이 섭취하여도 안전한 수준이며, 특히 화학비료구보다 톱밥발효 우분퇴비처리구에서 질산염 함량이 낮아 우분퇴비 200%를 시용하더라도 사초의 질산염 함량에서는 안전한 수준이라고 사료된다. 토양 $NO_3$-N 함량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봄철보다는 가을철에 그 함량이 높았고 처리별 토양 $NO_3$-N의 함량을 보면 화학비료구가 톱밥발효 우분퇴비구 보다 높았다. 시험전과 시험후의 토양 pH 변화는 CM200%구에서 6.40으로 가장 높아졌고 CM50 및 CM100%구는 6.31, 6.20 순으로 높았다. 토양내 유기물 함량변화는 CM200%구에서 7.8%로 가장 높았고, 유효인산 함량도 CM200%구에서 336.39 mg/kg로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볼 때 톱밥발효우분퇴비를 오차드 그라스 초지에 질소기준 100%를 시용했을시 건물 수량에서는 생산량이 다소 떨어지나 토양환경차원에서 100%를 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철, 최대진, 송상택. 2001. 돈분액비와 인산시용이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건물수량 및 질소와 인 흡수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학회지: 43(6) 973-980.
  2. 김문철, 김태구, 이종언. 2003. 제주지역 혼파목 초지에서 톱밥발효 돈분 시용시 목초의 건물생산 및 무기물 함량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논문집(19) 2권.
  3. 남궁석, 조종후, 신광순, 황대우 1979. Milk중 아질산염 및 질산염 함량.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3(2):103-106.
  4. 류종원, H. Jacob. 1997. 목초생산성과 초지생태계에 미치는 액상구비의 시용 효과. 한초지 17(1):35-42.
  5. 신동은, 김동암, 신재순, 송관철, 이종경, 윤세형, 김원호, 김정갑. 1998. 추파용 호밀에 대한 액상 분뇨 시비 효과 II. 무기물함량, N 생산성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8, 243-250.
  6. 최기준, 정의수, 임용우, 임영철, 김기용, 성병렬, 김맹중, 박근제, 2003. 휴폭 및 이른봄질소비료시용량이 오차드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에 미치는영향. 한초지 23(2):107-114. https://doi.org/10.5333/KGFS.2003.23.2.107
  7. 윤순강. 류순호 1994. 요소 유래 NO3-N 및 동반 양이온의 토양중 행동. II. 토양과 용탈수의 pH 변화 및 시용질소의 행동. 한토비지. 27, 21-26.
  8. 육완방, 최기춘, 유근창. 2004. 가축분뇨의 처리 형태별 시용시기가 영년초지에 있어서 분뇨의 이용효율 및 목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24(1):71-80. https://doi.org/10.5333/KGFS.2004.24.1.071
  9. 정 찬, 전병태. 1989. 가축분이 초지의 토양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3, 48-55.
  10. 황대우. 1993. 반추가축의 질산염중독증에 관한 문헌적 고찰.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7(1): 129-136, 1993.
  11.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ed. (Ed.S. Williams). A.O.A.C. Arlington. VA.
  12. ANKOM Technology. 2005a. Method for Determining Neutral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Fairport, NY. http://www.ankom.com/09_procedures/procedures2.shtml. Accessed May 8, 2005.
  13. ANKOM Technology. 2005b. Method for Determining Acid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Fairport, NY. http://www.ankom.com/09_procedures/proceduresl.shtml. Accessed May 8, 2005.
  14. Borton, L.R., C.A. Rotx, H.L. Person, T.M. Harrigan and W.G. Bickert. 1995. Simulation to evaluate dairy manure systems. Applied Engineering in Agriculture 11(2):301-310. https://doi.org/10.13031/2013.25743
  15. Crawford, RF, Kennedy, WK and Johonson WC 1961. Some factors that affact nitrate accumulation in forage. Agron J, 53:159-162. https://doi.org/10.2134/agronj1961.00021962005300030010x
  16. Dennis Cash, Howard Bowman and Roger Brownson, 1993. Nitrate Poisoning in Forages, Montguide C-8.
  17. Estavillo, J.M., C. Gonzalezmurau, G. Besga, and M. Rodriguez. 1996. Effect of cow slurry N on herbage productivity, efficiency of N utilization and on white clover content in a natural sward in the Basque Country, Spain. Grass and Forage Sci. 51:1-7. Exner. https://doi.org/10.1111/j.1365-2494.1996.tb02031.x
  18.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ic. Handbook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 C.
  19. K. E. Varney. 1972. Fate ofnitrate from manure and inorganic nitrogen in a clay soil cropped tocontinuous corn.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1:413-415. https://doi.org/10.2134/jeq1972.00472425000100040017x
  20. Keeney, D.R. and D.W. Nelson. 1982 Nitrogeninoranic forms.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2. In A. L. page ed. p 643-698. Agronomy Monogr. ASA and SSSA, Madison, WI.
  21. Hanway, JJ and Englehorn AJ 1958. Nitrate accumulation in some low a rop plants. Agr J, 50:331-334. https://doi.org/10.2134/agronj1958.00021962005000060013x
  22. Marschner, H. 1995.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2nd Ed. Academic Press.
  23. SAS. 1988. SAS/STATR: User’s Guide (Release 6.03), SAS Inst. Inc., Gary, NC.
  24. Studdy, C.D., R.M. Morris and I. Ridge. 1995. The effects of seperated cow slurry liquor on soil and herbage nitrogen in Phalaris arundinacea and Lolium perenne. Grass and Forage Science 50, 106-11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95.tb02303.x
  25. Uesaka, S. and A. Miyazaki. 1965. The concentrations of nitrate in grasses and legums varying with cutting dates. In species. Jap. J. Zootech. Sci., 36:81-85.
  26. Wihteman, P. S. 1999. Slurry application to grass and clover : Differential plant responses. Agronomy Depatrment, Crop Division. S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