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oryboard Software Usage Frequency Ranking and Usability

스토리보드 소프트웨어의 사용빈도 순위와 사용성

  • 이도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 김준교 (중앙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4.27
  • Accepted : 2010.07.02
  • Published : 2010.07.28

Abstract

Due to the trend of shift to digitalization of the storyboard in 1990's, many a number of storyboard related softwares were born. With this change of trends, however, there was an undeniable lack of tangible data showing the advantage of such digitalization of the storyboard using software technology over conventional methods of doing the same job. In this study, therefore, we have selected the top five storyboard software suits in terms of their frequency in use and a sample group of 85 people to give an analysis on their usabilit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revealed two underlying tendencies regarding this issue. Firstly, all of the five softwares selected lacked interactive presentational features, suggesting the directives for the next phase of software development. Secondly, our experiments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st prominent benefit of using the softwares is the higher efficacy in delivering necessary information through real-time based replays, rather than the digitalization of the contents themselves. We expect that the findings of our study would serve as a new model for future software enhancement for the developers. And for the users of such softwares, too,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hem understand what kind of benefits they can expect as they use these storyboard softwares.

90년대 이후부터 스토리보드의 디지털화가 꾸준히 연구되어 오면서 많은 종류의 스토리보드 소프트웨어들이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들이 기존의 방식에 비해 효율적으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가 부족하여 85명의 실험대상자에게 사용빈도수에 따른 스토리보드 소프트웨어 5개를 선정하여 사용성을 분석해 본 결과 크게 2가지의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로는 선정된 5개의 소프트웨어 모두 상호작용 표현기능이 누락되어 있어 이것의 개발방향을 제시 할 수 있었으며. 둘째로는 스토리보드 소프트웨어로 얻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효과는 콘텐츠의 디지털화가 아닌 콘텐츠의 실시간 플레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 전달력에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자에게 새로운 모델을 제시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스토리보드 소프트웨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동양문고, 박연웅, 디지털영상 세대를 위한 스토리보드의 이해, pp.12-15.
  2. http://www.scribd.com/doc/2909608/RescueTime-Data
  3. http://www.koreanclick.com/information/freedata_rankings.php
  4. http://www.comscore.com/Press_Events/Press_Releases/2009/3/US_Search_Engine_Ranking/(language)/eng-US
  5. Mark Sanderson, "Word sense disambiguation and information retrieval," Proceeding of SIGIR-94, 17th ACM 142-151. 1994.
  6. 황상규, 오경묵, 번영태, 천유심, “어휘의미중의성이 인터넷기반 정보검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관리학회, pp151-155, 1999.
  7. 김성희, "인터넷상의 메타검색엔진 검색효율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pp.75-91, 1997.
  8. http://en.wikipedia.org/wiki/Toon_Boom_Animation
  9. Communication Arts Published by Coyne & Blanchard, 1994 p 175 Item notes: v.36 1994 Jul-Oct
  10. 김성희, 오건택, “하이퍼링크 구조를 이용한 웹검색의 순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Vol.37, No.2, pp.33-50, 2006. https://doi.org/10.1633/JIM.2006.37.2.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