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ld Grape (Vitis amurensis) Wine Prepared with Reed (Phragmites communis) Root

갈대뿌리를 첨가하여 제조한 산머루주의 발효 특성

  • In, Man-Jin (Department of Human Nutrition and Food Science, Chungwoon university) ;
  • Kim, Dong-Chung (Department of Human Nutrition and Food Science, Chungwoon university)
  • Received : 2010.02.17
  • Accepted : 2010.04.0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ld grape(Vitis amurensis) wine prepared with reed(Phragmites communis) root. The reed root was added to the fermentation of wild grape wine in the quantities of 0.5%, 1.0% and 2.0%. An addition of reed root during yeast fermentation of wild grape wine decreased the acidity and increased pH of fermentation culture, thus enhancing the consumption of sugar and production of ethanol. Especially, the addition of 2% reed root led to production of about 13% ethanol in 4 day of fermentation time.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wild grape wine fermented with 2.0% reed root was most acceptable.

갈대뿌리를 첨가하여 효모 발효시킨 산머루주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주 발효 과정에 갈대뿌리의 첨가는 효모의 당 소모를 촉진시켜 발효를 빠르게 진행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발효액의 pH의 증가와 산도의 감소를 가져와서 효모가 발효를 더 잘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특히 갈대뿌리 2%를 첨가한 산머루주는 발효기간 4일 이내에 에탄올이 약 13%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갈대뿌리 첨가가 발효시간을 단축하는데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갈대뿌리 2%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산머루주의 관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효모를 사용하여 산머루의 알코올 발효 시에 갈대뿌리의 첨가는 당의 소모와 에탄올 생성을 촉진하고 관능을 좋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선영, 조현소, 김행자, 류충호, 이정옥, 성낙주, "머루즙과 머루주의 이화학적 분석 및 항산화 효과", 한국영양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311-317, 9월, 2006.
  2. 김성호, "산머루주 제조를 위한 발효조건의 최적화",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제51권, 제1호, pp. 24-37, 3월, 2008.
  3. 박영식, 허재윤, 김인종, 허수정, 김경희, 정병찬, 박성민, "강원도에서 수집된 왕머루의 생장과 과실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지, 제13권, 제6호, pp.226-233, 12월, 2005.
  4. 황인경, 안승요, "머루 (Vitis amurensis Ruprecht)anthocyanin에 관한 연구-[제2보] 머루 anthocyanin 구조 확인", 한국농화학회지, 제18권, 제4호, pp.188-193, 12월, 1975.
  5. 김난영, 최재호, 김영국, 장미영, 문제학, 박근형, 오덕환, "머루종자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8권, 제1호,pp. 109-113, 2월, 2006.
  6. 김성렬, 김승겸, "개량머루를 이용한 발효제품의 제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10권, 제2호, pp.254-262, 6월, 1997.
  7. 김승겸, "개량머루주의 감산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제9권, 제3호, pp. 265-270, 9월, 1996.
  8. 김성호, "혼합배양에 의한 산머루주의 감산발효 최적조건",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제51권, 제1호, pp.17-23, 3월, 2008. https://doi.org/10.3839/jabc.2008.004
  9. 김은정, 김영훈, 김종원, 이효형, 고유진, 박미화, 이정옥, 김영숙, 하영래, 류충호, "산머루 와인의 최적 발효조건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6권, 제3호, pp. 366-370, 3월, 2007. https://doi.org/10.3746/jkfn.2007.36.3.366
  10. 이주경, 김재식, "ampbell Early를 이용하여 만든 포도주의 산도 감소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8권, 제3호, pp. 408-413, 6월, 2006.
  11. L. R. Mattick, R. A. Plane, L. D. Weirs, "Lowering wine acidity with carbonate", American Journal of Enology and Viticulture, 31(4), pp. 350-357, 1980.
  12. 지설희 ,한우철, 이재철, 김병완, 장기효, "해당화와 머루를 함께 발효한 해당화 머루주의 발효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제41권, 제2호, pp. 186-190, 4월, 2009.
  13. 육철, 서명현, 김동호, 김재식, "타 과실 혼합에 따른 국내산 캠벨 포도주의 품질개선",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9권, 제4호, pp. 390-399, 8월, 2007.
  14. 최재수, 이지현, 양한석, "갈대의 고지혈증 개선 효과와 그 활성성분", 한국영양식량학회지, 제24권, 제4호, pp. 523-529, 8월, 1995.
  15. K. Y. Shin, G. H. Lee, C. H. Park, H. j. Kim, S.-H. Park, S. Kim, H. -S. Kim, K. -S. Lee, B. Y.Won, H. G. Lee, J. -H. Choi, Y. -H. Suh, A novel compound, maltolyl p-coumarate, attenuates cognitive deficits and shows neuroprotective effects in vitro and in vivo dementia models. Journal of Neuroscience Research, 85(11), 2500-2511, 2007. https://doi.org/10.1002/jnr.21397
  16. 최진호, 김정화, 이종수, 한영실, 한상섭, "기억.학습장애 동물모델 SAMP8에 미치는 갈대뿌리 추출물(RRE)의 영향 [I. SAMP8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갈대뿌리 추출물의 투여효과]. 한국노화학회지, 제7권,제3호, pp. 17-22. 9월, 1997.
  17. G. L. Miller,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ytical Chemistry 31(3), pp. 426-428, 1959. https://doi.org/10.1021/ac60147a030
  18. 인만진, 오남순, 김동청, "가수분해도가 상이한 현미 가수분해물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균주 발효물의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38권, 제8호, pp. 1118-1123, 8월, 2009. https://doi.org/10.3746/jkfn.2009.38.8.1118
  19. 이장은, 원유동, 김성수, 고경희, "포도품종을 달리한 적포도주의 이화학적 성분변화 (I)",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4권, 제2호, pp. 151-156, 4월, 2002.
  20. M. A. Amerine, E. B. Roessler, C. S. Ough, "Acids and the acid taste. I. The effect of pH and titrable acidity", American Journal of Enology and Viticulture, 16(1), 29-37,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