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전시 일부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보건교사의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의 인식도조사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water fluoridation concentration regulation project of some elementary school

  • Lee, Tae-Y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
  • Seung, Bo-Kyu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
  • Kim, Jee-He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Kwang-Hwan (Department of Hospital Management, Konyang University)
  • 투고 : 2010.03.19
  • 심사 : 2010.05.13
  • 발행 : 2010.05.31

초록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초등학교 110곳을 대상으로 교사 400명에게 방문 또는 우편조사법을 실시하였다. 단순 확률 추출법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조사내용 일부가 누락된 자료를 제외한 총 34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전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학생들에게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관리습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초등학교 교사에게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안정성과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불소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제도적 행정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pproximately 110 elementary schools and 400 teachers in Dae Jeon metropolitan city were chosen for this research, by using the method of direct visit and survey by mail. The survey was performed as in the forms of self administration, by simple statistic extract method, and among the survey, insincere answers and partly omitted contents were removed, which left 348 survey questionnaires to use for the final research. In order to restore the tap water fluorine concentration regulation project in Dae Jeon, advertise its benefits; it offered precise knowledge and positive response of fluorine through education on oral disease prevention, provide correct knowledge,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follow to support its importance.

키워드

참고문헌

  1. Clarkson J, Mcloughlin J, O'Hickey S. Water fluoridation in Ireland-a success story. J Dent Res, Vol.82, pp.334-337, 2003. https://doi.org/10.1177/154405910308200502
  2. 김종배, 백대일 외. 청주시 관급수불화사업 효과에 관한 추구연구(V), 대한구강보건학회지, 제21권4호, pp.583-592, 1997.
  3. 김진범. 우리나라 수돗물불소화사업의 현황과 일본의 수돗물 불소화 개발 동향. 월간 치과연구, 제48권, pp.21-27, 2000.
  4. 정미애. S고교 남학생의 구강검진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조사,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0권9호, pp.2478-2484,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9.2478
  5. 송근배. 경주시 관급수 불소농도 조정적정화사업의 효과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보고서. 경주시보건소, 경주보건소.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교실, pp.83-84, 2002.
  6. 이태용, 김광환. 개인 의료기관에 내원한 고혈압 및 당뇨병환자에게 실시한 건강교육이 치료 순응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0권2호, pp.425-431,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2.425
  7. Stephen KW, Macall DR. Caries Prevalence in Northern Scotland before and 5years after water defluoridation. Brit Dent, Vol.163, pp.324-326. 1987. https://doi.org/10.1038/sj.bdj.4806295
  8. Lemke CW, Doherty JM, Arra MC. Controlled fluoridation: the dental effect of discontinuation in Antigo, Wisconsin. J Am Dent Assoc , Vol.80, pp.782-786, 1970.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70.0121
  9. 최순례. 학교구강 보건실 운영 효과에 관한연구. 영남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05.
  10. 이태용, 윤고은, 김광환. 학교 구강보건실 운영이 초등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 행태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제10권1호, pp.87-104, 2009.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Fluorides and aral health. Geneva :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Vol.846, pp.16-19, 1994.
  12. 김대영, 박인순, 김지영, 김병성.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진주시민의 의식실태조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998.
  13. 문혁수, 백대일, 김종배. 1998년 구리시 상수도수불화사업 평가를 위한 2차 기초 조사 보고서.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학교실, 1998.
  14. 조수헌, 권호장, 하미나, 하은희, 홍윤철. 수돗물 불소화사업의 건강영향에 의한 의과 학적 검토. 대한의사협회 연구용역보고서,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환경의학 연구소, 1999.
  15. 양해영. 전문가 치면세정술 및 구강보건교육이 구강청결도와 구강보건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0권12호, pp.3895-3901,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