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Development of Color-Mud for Boryeong Mud Festival by Color Pigment

착색안료를 이용한 보령머드축제용 유색머드의 개발

  • 심승보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 오성근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
  • 홍경희 (삼육보건대학 피부미용과) ;
  • 전용진 (청운대학교 화장품과학과)
  • Received : 2010.03.30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about color-contained mud to provide fun and diversity for the event of mud self massage as a core program of Boryeong Mud Festival which has become one of representative festivals in Korea. Adjusting its own lower brightness of mud and based on the primary study performed about the expressivity of yellowish colors, inorganic colors (oxidized steel in red, ultra marine pink, ultra marine blue, chrome oxide green) were added for the development of colored mud in diverse colors on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It had been judged about each expressivity of color by methods of colormeter, naked eyes inspection and feeling of usage, etc. For the color decided, it had been examined about the coloring when it got wet with the cleaning condition so that it can be used for the event of mud self massage as a program of Boryeong Mud Festival to increase diversity of the Festival and also attempted to develope colored mud to show Korean traditional colors.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자리 잡은 보령머드축제의 핵심 프로그램인 머드 셀프마사지 행사의 재미와 다양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색상이 함유된 머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머드 고유의 낮은 명도를 조절하고, 황색계열의 색상발현도를 연구하였던 일차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한국의 전통 색을 근간으로 하는 다양한 색상의 유색머드 개발을 하고자, 무기색소(적색산화철, 울트라마린핑크, 울트라마린블루, 크롬옥사이드 그린)를 첨가하여, 각각의 색상발현도를 색차계, 육안검사, 사용감 등으로 판단하였다. 결정된 색상은 물에 젖음 시 발색정도와 세척상태를 검토하여 보령머드 축제 프로그램인 머드 셀프마사지 행사에 사용하여 축제의 다양성을 높이고, 또한 한국의 전통 색을 나타낼 수 있는 유색머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변필성, "지역발전을 위한 향토자원 상품화의 사례로서 보령시 머드화장품 사업에 대한 고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9권, 제1호, pp.7-22, 2006.
  2. 노용호, 정강환, "해양자원 축제와 시사점:보령 머드 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경남발전, 제79권, 제5호,pp.20-26, 2006.
  3. 심승보, 전용진, "보령머드축제의 머드체험 다양화를 위한 유색머드의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제9권, 제2호, pp. 368-370, 2008.
  4. 심승보, '화장품용 분체의 분쇄방식에 따른 특성연 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500-507, 2008 https://doi.org/10.5762/KAIS.2008.9.2.500